소양강댐 식수원·홍수 조절 ‘수도권 지킴이’… 심층수 수열에너지 준비 착착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수정 2023-11-19 23:55
입력 2023-11-19 23:55

올해 소양강댐 건설 50주년

이미지 확대
1973년 국내 최대 규모이자 동양에서 가장 큰 사력 댐으로 건설된 소양강댐. 한국수자원공사 제공
1973년 국내 최대 규모이자 동양에서 가장 큰 사력 댐으로 건설된 소양강댐.
한국수자원공사 제공
1973년 경제발전 시기 공업용수와 수도권 생활용수 공급, 홍수 조절과 전력 생산 등을 위해 건설된 소양강댐이 올해 50년을 맞았다. 1960년대 이전 우리나라는 전문적 수자원 관리 역량 부족과 산지 지형 및 짧은 하천 길이로 유입 수량(1140억t) 대부분이 증발하거나 바다 등으로 유실돼 활용량이 7%(80억t) 정도에 불과했다. 소양강댐은 총 저수량 29억t에 이르는 국내 최대 규모이자 준공 당시 동양에서 가장 큰 사력 댐이었다. 연간 12억t의 생활·공업용수와 1300만t의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수도권 공급 용수의 45%를 차지한다. 하루 공급하는 식수 332만t은 국민 1100만명(1인당 평균 302ℓ)이 사용할 수 있으며 국민 43만 5000명이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연평균 465GWh의 전력을 생산한다.

경제적 기여뿐 아니라 재난 대응에서도 존재감을 드러냈다. 연 5억t의 홍수 조절 용량을 활용해 집중호우와 태풍 등 위기 상황에서 수도권 지킴이가 됐다. 1981, 84년 장마 당시 한강 유역 범람 위기에서 상류의 물을 최대한 가둬 수위 상승을 늦추며 피해를 최소화하는 등 최후의 보루 역할을 담당했다. 지난 7월 토목문화유산으로 지정됐다.

소양강댐이 디지털 전환과 친환경 에너지로 미래 50년을 준비하고 있다. 기후 위기로 인한 극한 가뭄·홍수로 물 관리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최첨단 기술로 무장을 강화하는 중이다. 균열·누수 등 댐의 안전 여부를 정밀 진단하고 자연재해에 대한 디지털 가상 예측으로 비상 상황의 대응력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최근 주목되는 분야는 신재생 에너지다. 수공은 소양강댐 심층수 수열 에너지를 2028년부터 30년간 ‘강원도 수열 에너지 융복합 클러스터’에 공급한다. 하루 46만 2000㎡ 면적을 냉난방할 수 있는 1만 6500RT(냉동톤) 규모다. 이를 통해 에너지 비용 70% 절감과 탄소 배출 70% 감소, 연간 13t의 미세먼지 감축 효과가 기대된다.

대전 박승기 기자
2023-11-20 23면
많이 본 뉴스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