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대전청사에선] 관세·조달청장은 공직의 종착역?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4-07-31 00:00
입력 2014-07-31 00:00

한때 요직 진출 지름길로 각광

“예전엔 힘 있는 청장이 와서 상급 부처와 업무 협조가 잘됐는데 근자에는 그런 인센티브(?)도 없네요. 아예 올라가질 못하니까 외청에 대한 관심이 낮아질 수밖에 없는 거죠.”

이미지 확대
정부대전청사의 한 간부급 공무원은 관세청장과 조달청장의 위상이 급전직하한 상황을 에둘러 표현했다. 두 외청장은 정책과 집행을 겸비한 자리라 한때 요직으로 진출하는 지름길로 각광받았다. 하지만 이명박 정부를 거치며 ‘공직의 종착역’으로 위상이 쪼그라들었다는 것이다. 더욱이 현 정부 들어서는 공직의 전문성이 강조되면서 내부 승진에 대한 기대감을 줬으나 막상 실제 인사에서는 여전히 외부에서 날아올 뿐만 아니라 그것도 날개가 꺾인 채 온다고 직원들은 볼멘소리를 했다.

과거 이명박 정부 출범 전까지 10년간 7명의 관세청장 중 4명이 장관으로 발탁되면서 ‘관세청장=승진·영전 자리’로 인정됐다. 김호식 전 해양수산부 장관, 윤진식 전 산업자원부 장관, 이용섭 전 건설교통부 장관, 김용덕 전 금융감독위원장이 잇따라 관세청의 이름을 빛냈다.

그러나 최근에는 허용석, 윤영선, 주영섭, 백운찬 전 청장들에 이어 현 김낙회 청장까지 ‘5연속’ 기획재정부 세제실장 출신이 배치됐다. 세제실장이라면 그래도 잘나가는 자리라 ‘세제실장→관세청장→국세청장 또는 장관’으로 이어지는 ‘로열 코스’를 꿈꾸지만 국세청장 자리에 내부 승진이 잇따르면서 행로를 잃은 듯하다. 이로 인해 관세청장 자리가 ‘세제실장의 무덤’이라는 말까지 생겨났다.

조달청장 자리도 예전 실세(?)들이 누렸던 명성에 크게 못 미친다. 그나마 2010년 4월부터 1년간 조달청장을 지냈던 노대래 현 공정거래위원장이 희미한 명맥을 유지하고 있을 뿐이다.



‘외청장 전성시대’는 참여정부 때였다. 조달청장 출신인 권오규 전 재정경제부 장관을 비롯해 관세청장을 거친 이용섭 전 건교부 장관, 중소기업청장을 거친 김성진 전 해수부 장관이 있었다. 특히 권·이 전 장관은 2002년 각각 외청장을 거쳐 이듬해 청와대 비서관과 국세청장으로 자리를 옮겼고 2006년에는 재경부와 행정자치부 수장에 오르면서 ‘외청장 황금기’를 구가했다고 평가된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4-07-31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