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닷가 백사장에서 자라는 버섯 국내 첫 발견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4-08-12 09:24
입력 2014-08-12 00:00
이미지 확대
위가 백사장눈물버섯(가칭), 아래는 모래선녀버섯(가칭). 국립공원관리공단 제공
위가 백사장눈물버섯(가칭), 아래는 모래선녀버섯(가칭). 국립공원관리공단 제공
바닷가 백사장에서도 자라는 버섯이 국내에서 처음 발견됐다. 숲 속의 축축한 바닥이나 썩은 나뭇가지에서 서식하는 버섯과 전혀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지난 4월 태안해안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중 신두리와 기지포, 청포대, 바람아래 해변 등지에서 국내 발견 기록이 없는 버섯(2종)을 확인했다고 11일 밝혔다. 눈물버섯속인 백사장눈물버섯(가칭)과 선녀버섯속인 모래선녀버섯(가칭)이다. 백사장눈물버섯은 모래 속 깊은 보리사초·갯쇠보리·통보리사초 등과 벼과 식물의 썩은 뿌리에서 영양분을 얻는다. 갓 크기는 5㎝ 이하로 지난 1868년 유럽에서 최초 발견 후 미국과 일본 등 전 세계 해안가에서 서식이 확인됐다.  

모래선녀버섯은 해안가 백사장에서 서식하는 사초식물의 줄기나 뿌리 부근에 매달려 자라며 아름다운 이름과 달리 영양분을 흡수해 사초식물을 말라죽게 한다. 1973년 미국에서 처음 발견됐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이들 버섯을 전문학술지에 발표하고 공식적인 한국 이름을 붙일 예정이다. 보통 속명 앞에 발견지역이나 외관상 특징을 넣게 된다. 우리나라에는 약 10만 종의 생물이 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현재 4만 1000여종만 발견됐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