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톡! 톡! talk 공무원] 김미정 관세청 국제조사팀 사무관

박승기 기자
수정 2015-11-18 23:30
입력 2015-11-18 23:02
글로벌 마약 단속작전 핵심 역할 “신종 마약 경각심 높이는 계기 돼”

한국 관세청이 최초로 주도한 ‘글로벌 마약 합동 단속작전’(CATalyst)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해낸 국제조사팀 김미정(31) 사무관은 신종 마약에 대한 국제적 경각심을 높이는 중요한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신종 마약 확산 방지를 위해 지난달 10~30일 이뤄진 합동 단속엔 세계관세기구(WCO)와 유엔마약범죄사무소(UNODC), 국제마약통제위원회(INCB), 유로폴, 인터폴 등 5개 마약 관련 국제기구와 94개 회원국이 참여했다. 국제 공조수사로 신종 마약 1132㎏ 등 마약류 8770㎏을 적발했다. 일반 마약 7638㎏은 2억 5400여만명이 동시에 투약할 수 있는 어마어마한 양이다. 신종 마약은 투여량을 가늠할 수조차 없다.
그는 “작전 기간 벨기에 브뤼셀의 WCO 본부에 설치된 작전통제센터에 3명이 파견돼 참가국에서 제공한 우범 정보 등을 분석, 파악해 전파하는 등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며 “참가국에 뉴스레터(6회), 특이 동향(8회) 등을 별도로 제공하면서 관심과 참여를 유도할 수 있었다”고 소개했다.
결과는 ‘성공’이었지만 작전 과정에서 실무자들의 부담과 고민이 컸던 것으로 알려졌다. 첫 주 참가국이 저조하자 관세청 파견자뿐 아니라 각국의 지역별 담당자들이 나서 참가국에 대한 설득을 벌여 2주째부터 세팅이 됐다. 작전에 따른 실적과 정보 누설 부담도 있었다. 관세청 내부에서도 작전 종료 때까지 비밀을 유지했다.
한국이 신종 마약의 글로벌 단속을 WCO에 제안한 배경에 대해선 “신종 마약은 값이 싼 반면, 중독성과 효과가 크고 직구 등으로 손쉽게 구입할 수 있어 위험도가 높다”며 “2013년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이어 아시아·유럽 단속 경험을 토대로 글로벌 작전을 제안해 공식 채택됐다”고 밝혔다.
●“섬세·유연함으로 능력 발휘”
김 사무관은 “신종 마약은 종류가 다양하고 대륙·국가별 수요나 밀수 방식 등을 파악하기가 어렵다”면서 “작전 결과는 유엔과 WCO 총회 등에 보고될 예정으로 각국의 신종 마약 대책 수립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글로벌 작전이 한국이 신종 마약 확산 방지를 위한 이니셔티브를 거머쥘 중대한 계기가 됐다는 점을 강조했다.
관세청 조사감시국은 밀수와 불공정 무역 및 불법 외환 거래, 국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총기·마약류 반입을 차단하는 거친 업무로 여성은 6명뿐이며 국제조사팀에만 3명이 있다. 2009년(행정고시 51회) 공직에 입문한 김 사무관은 국제 마약 정보와 전략물자,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 거래에 관한 협약(CITES) 업무를 맡았다. 그는 “현장에서 수사하는 게 아니라 정보 분석과 국제 공조 등이 업무이기에 위험하지 않다”며 “섬세하고 유연한 여성이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분야”라고 평가했다.
글 사진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5-11-19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