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 ‘해마’ 생태 비밀 풀다… 산란주기·개체밀도 등 첫 확인

박승기 기자
수정 2015-11-30 02:49
입력 2015-11-29 23:28
해마는 연안성 정착어류로 독특한 생활 및 좁은 행동반경으로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적색(위협종) 목록에 등록돼 있지만 국내에서는 멸종위기 여부를 판단할 정보조차 부족했다. 형태가 독특해 관상용으로 인기가 높고 보신용 약재로 쓰이면서 남획과 불법거래가 성행해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에서 거래금지품목으로 지정됐다.
연구 결과 해마는 낮보다 밤에 10배 정도 출현빈도가 많았다. 주간에는 포식자를 피해 거머리말에 붙어 휴식하고 야간에 먹이인 동물플랑크톤을 따라 수면위로 올라와 활동을 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공단은 해마류 서식지인 거머리말 군락지를 특별보호구역으로 지정해 양식장 확대를 차단하고 유인어망 설치를 해마의 산란기인 6~7월에 제한하는 등 보호 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5-11-30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