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혼남 일·가정 양립 힘들수록 우울”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수정 2016-04-18 02:07
입력 2016-04-17 18:00

보건사회연, 3189명 조사

‘직장·가정 모두 잘해야’ 부담감
“남성도 일·가정 양립 정책 필요”

이미지 확대
직장과 가정에서 모두 잘해야 하는 부담에 남성도 여성 못지않게 우울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한국복지패널(2014년) 조사에 참여한 기혼 직장인 남성 3189명을 대상으로 일·가정 양립에 대한 어려움, 자아존중감, 우울감을 스스로 평가한 내용을 분석한 결과 일·가정 양립에 어려움을 많이 느끼는 기혼 직장인 남성일수록 자아존중감은 낮았고 우울감은 높았다.

이런 경향은 26~59세 남성에게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 연령대 남성은 일·가정 양립이 어렵다고 느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았으며,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우울감이 컸다.

반면 60~93세 노년기는 일·가정 양립의 어려움이 바로 우울감으로 이어지진 않았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성인기와 노년기별 기혼 남성 근로자의 일·가정 양립 어려움과 우울, 자아존중감의 관계’ 보고서를 작성한 연구진은 “육아기 맞벌이 남성도 경제적 불안과 잦은 회식 등으로 아버지의 역할 수행을 어려워한다”며 “일·가정 양립을 위한 정책과 제도를 더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늦게까지 일하는 부인과 함께 사는 남편일수록 우울 증상을 보일 위험이 크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다. 윤진하(연세의대)·강모열(서울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팀은 함께 거주하는 부부 1만 6112명을 상대로 배우자의 근무시간에 따른 우울 정도를 분석한 결과 무직인 부인을 둔 남편보다 일주일에 60시간 이상 근무하는 부인을 둔 남편이 2배 가까이 더 우울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윤 교수는 “긴 근무시간은 일하는 당사자는 물론 가족에게도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6-04-18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