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장애인 생산품 구매 작년 4640억으로 목표치 넘어

이현정 기자
수정 2016-04-26 01:53
입력 2016-04-25 17:58
25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공공기관은 지난해 4640억원어치의 중증장애인생산품을 구매해 전년 3530억원보다 31.4% 늘었다. 전체 구매액 대비 중증장애인생산품 구매액 비율은 1.02%로 법정 구매 비율 1%를 넘었다.
현행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특별법 시행령은 ‘중증장애인생산품 구매 목표 비율은 공공기관별 총구매액(제품·서비스)의 100분의1 이상’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기관별 구매 비율은 공기업이 1.15%인 2485억원을 사용해 가장 높았다. 국가기관의 구매 비율은 1.10%로 두 번째로 컸다. 반면 지방자치단체(0.80%)와 교육청(0.89%)은 평균 구매 비율에 미치지 못했다.
복지부가 각 기관의 구매 실적과 구매 노력도 등을 평가한 결과 국가기관 중에서는 원자력안전위원회, 방송통신위원회, 복지부 등이 100점 만점을 받았다. 반면 대법원(16.8점), 국회사무처(20.3점), 통일부(25.2점) 등은 점수가 낮았다. 지자체 가운데 100점 만점을 받은 곳은 서울, 부산, 대구, 경기도다.
정부는 중증장애인생산품 구매가 활성화되도록 이날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촉진위원회’를 열어 올해 구매 목표액을 5425억원으로 잡았다. 전체 공공기관 총구매예정액(49조 2000억원)의 1.1% 수준이다.
복지부는 “실적이 미흡한 기관에 대해 사전 모니터링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6-04-26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