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안군 공무원 이탈 고민에 행자부 ‘맞춤형 인사컨설팅’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송한수 기자
송한수 기자
수정 2016-10-24 00:58
입력 2016-10-23 23:06

특수지 근무여건 개선 ‘시동’

전남 신안군에 비상이 걸렸다. 최근 6년간 전출 및 의원면직 직원이 96명이나 된다. 해마다 평균 16명이 군청을 떠난 것이다. 특히 외딴섬 근무가 걸림돌로 작용했다. 신안군 공무원 707명을 나누면 압해읍에 자리한 본청 276명, 의회 및 사업소 175명, 나머지 1개 읍·12개 면 256명이다.

이미지 확대
군 관계자는 23일 “교육 문제 등으로 가족과 오래 떨어져 외딴섬에서 혼자 생활해야 하는 데다 교통·숙식 등 근무 환경이 열악한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신안군은 72개 유인도와 932개 무인도로 이뤄졌다. 섬과 섬을 연계해 관광객 유치를 겨냥한 ‘천사(1004) 프로젝트’도 여기에서 유래했다. 그러나 주민 감소와 함께 공무원 이탈로 고민이 깊어진 것이다.

이런 신안군이 도서지역을 대상으로 한 특수지 근무여건 개선에 전환기를 마련하게 됐다. 행정자치부는 24일 군청에서 인사 컨설팅 결과 보고회를 갖는다. 특수지란 공무원이 생활하기 어려운 환경에 놓여 정부에서 지원하도록 한 곳을 말한다. 벽지, 접적지(북한과 경계를 마주한 곳), 교도소·현충원 등 특수기관이다.

행자부는 지난 8월 11일 킥오프 미팅을 시작으로 현장방문 및 심층 인터뷰, 설문조사, 개선과제 발굴, 전문가 자문 등 컨설팅 절차를 약 3개월에 걸쳐 밟았다.

설문조사 결과 요직 부서에는 근무성적평정 및 승진 등 인사상 혜택이 집중(70.3%)된 반면 읍·면의 경우 승진 시 불이익 존재(67.5%)에 따라 도서지역 근무를 기피했다. 외딴섬 근무가 불가피한데도 인사상 고려되지 않는다는 방증이다. 역시 어려운 여건 때문에 교육·훈련 기회를 맞고도 상사 및 동료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어 참여하기 어렵다(66.9%)는 반응도 많았다. 따라서 연가(52.0%), 유연근무제(42.5%) 시행도 절반 안팎에 그쳤다.



행자부는 신안군을 계기로 도서지역 특유의 근무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휴직 대체인력을 감안한 신규 인력 충원, 일하는 방식 및 조직문화 변화 등으로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유도할 생각이다.

송한수 기자 onekor@seoul.co.kr
2016-10-24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