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고위직 오르려면 안전스펙 반드시 갖춰라”

오경진 기자
수정 2018-04-25 02:37
입력 2018-04-24 23:52
류희인 본부장 인사안 마련
재난관리본부 일은 격무이면서도 언제 재난이 발생할지 몰라 늘 긴장해야 해 기피 업무에 속한다. 지난해 행안부가 자체적으로 조사한 ‘방재안전직 직무실태 설문조사’에서도 직무에 만족한다는 응답은 13%로 10명 중 1명꼴에 불과했다. 이런 상황에서 국민 안전을 책임질 재난담당 공무원들의 전문성이 떨어지고 국가의 재난대응 역량이 저하된다는 우려가 나오자 김 장관이 극약 처방을 준비한 것으로 보인다.
일부 행안부 공무원들은 “재난관리본부가 행안부에서 다시 분리될 수도 있는데, 괜히 갔다가 ‘낙동강 오리알’ 신세가 되는 것 아니냐”고 걱정한다. 이에 류 본부장은 “다시 분리한다는 움직임은 없는 것으로 안다”면서 “오히려 행안부로 함께 있으면 지방에 장악력이 생겨 유리한 점이 많다”고 전했다.
그는 또 “재난관리본부 공무원도 행정담당 공무원처럼 지방과 일대일 인사교류를 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국장이나 과장급에서 중앙과 지방이 인사교류를 할 수 있도록 제도화하는 방안을 살펴보고 있다는 설명이다.
오경진 기자 oh3@seoul.co.kr
2018-04-25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