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나눔] 정실인사 항의? 개혁인사 저항?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이경주 기자
이경주 기자
수정 2018-08-23 23:14
입력 2018-08-23 22:08

보훈처 서기관 된 지 15개월 만에 부이사관 고속 승진 논란

이미지 확대
서기관으로 승진한 지 불과 15개월 만에 부이사관으로 올라간 국가보훈처 A과장의 고속 승진을 두고 부처 내 온라인게시판에 90여개의 항의성 게시글이 올라오면서 내부 논란이 커지고 있다.

보훈처 관계자는 23일 “지난 14일 특별승진 심사를 통해 부이사관(3급) 승진자 1명과 서기관(4급) 승진자 2명을 내부에 알렸다”며 “그중 서기관이 된 지 15개월밖에 안 된 A과장이 부이사관으로 승진한 데 대해 직원 고충토론방인 ‘보톡스’에 90여개의 비판성 게시글이 올라왔고 조회수는 총 8000건에 이른다”고 말했다.

보훈처는 피우진 처장 부임 이후인 지난 3월 행정발전에 지대한 공헌이 있다면 근무 기간에 구애받지 않고 승진시켜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겠다는 취지로 특별승진 제도를 만들었다. A과장이 포함된 14일 인사가 첫 특별승진으로 규정상으로는 문제가 없다.

그러나 한 보훈처 직원은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A과장의 직책은 인사를 총괄하는 자리인데 특별승진제도를 만든 당사자가 가장 먼저 수혜자가 되는 ‘셀프승진’을 한 것 아니냐”며 “현장도 아니고 관리지원부서에서 남들은 5년씩 걸리는 승진을 빠르게 할 만큼 큰 공적을 거둘 게 있는지 의문”이라고 했다. 다른 직원은 “특별승진의 공적이라도 밝혀 줘야 하는 것 아니냐”며 “많은 직원들이 상대적 박탈감에 빠져 있다”고 했다.

반면 이들의 불만과 비판을 개혁에 대한 저항으로 해석하는 시각도 있다. 보훈처 관계자는 “A과장의 승진은 고위직 여성 비율을 늘리려는 현 정권의 기조에 맞춘 것”이라며 “20년 이상 근무하면서 인사혁신 등에 기여한 공적도 인정받았다”고 했다.

또 A과장이 새 정권에서 인사개혁 실무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이른바 적폐 세력에 대한 처벌에 적극적으로 임한 데다 고위직의 경우 내부 승진보다 외무 공모가 많아지면서 내부의 불만이 터졌다는 분석도 있다.

한 직원은 “A과장이 적폐 관련인 경우 중징계를 적극 요구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보훈처가 장관급으로 격상되면서 고위직 자리도 늘어날 것으로 기대했는데 고위직 공모에서 외부 인사들이 연이어 선발되면서 직원들이 크게 실망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15개월 만의 승진이 과하다는 생각이 들긴 하지만 그렇다고 내부 개혁을 멈춰서는 안 된다는 마음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2018-08-24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