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평균 27세에 입직… 9급→5급 승진 24.4년 걸려

오경진 기자
수정 2019-02-26 02:08
입력 2019-02-25 22:38
‘2018 공무원총조사’ 분석
진급기간 5년 전 조사보다 0.8년 줄어
계급 승진 최저연수 단축 효과 나타나
재직자 82%가 기혼… 절반 이상 맞벌이
자녀 둔 공무원 69%… 43만명은 2명 둬

인사혁신처는 이런 내용을 담은 ‘2018 공무원총조사’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지난해 8월 1일 기준 우리나라 공무원 106만 8629명 가운데 휴직자(4만 6697명)을 뺀 102만 1932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응답자는 97만 4485명으로 응답률은 95.3%였다. 헌법기관 공무원(2만 3244명)은 포함됐지만 국가정보원·대통령경호처·군인·군무원·정무직·한시 임기제·외국인·국회 별정직은 제외됐다. 공무원총조사는 공직 내 인적자원 변동사항을 파악하고 인사정책 수립과 운영에 반영하고자 5년마다 실시한다.
지난해 국가 일반직공무원 5급 사무관 1만 3682명 가운데 9급에서 시작한 이들은 모두 4704명(34.4%)이었다. 이들이 9급에서 5급으로 승진하는 데 걸린 평균 기간은 24.4년으로 2013년(25.2년)보다 0.8년 줄었다. 7급 공무원이 5급 사무관으로 승진하는 데 평균 14.1년이 걸렸는데, 이 역시 5년 전(14.6년)보다 반년가량 줄었다. 인사처 관계자는 “2012년부터 계급별 승진 소요 최저연수를 단축했는데 이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 밖에 9급에서 4급 서기관까지는 29.5년, 9급에서 고위공무원(2급 이상)까지는 33.3년이 소요됐다.
●주택 소유 공무원 64.4%… 76.8%가 아파트
분석 대상 공무원 가운데 82.1%인 78만 5173명은 기혼자였다. 이 가운데 절반 이상(49만 1376명)이 맞벌이를 했다. 자녀를 둔 공무원 66만 4820명 가운데 3분의2 정도인 43만 4188명이 2명을 양육했다. 이어 자녀 1명(15만 6191명·23.5%), 자녀 3명(6만 9488명·10.5%) 순이었다.
주택을 소유한 공무원은 총 61만 5909명(64.4%)으로 2013년(69.1%)보다 다소 줄었다. 이들은 대부분 아파트(76.8%)에 살고 있었다.
지난해 공무원 평균 연령은 43.0세로 2013년(43.2세)과 비슷했다. 이전 조사에선 6급 이하 공무원의 정년 연장 영향으로 2008년 41.4세에서 2013년 43.2세까지 크게 늘어난 뒤 이렇다 할 변화는 없었다. 지난해 신규 임용 평균 연령은 27세였으며 국가 일반직공무원(12만 3901명) 기준 최초 임용계급은 9급이 8만 1703명(65.9%)으로 가장 많았다. 7급(2만 342명·16.4%), 8급(1만 3466명·10.9%)이 뒤를 이었다.
●여성공무원 비율은 45%… 3.6%P 상승
여성 공무원은 총 42만 9798명(45.0%)으로 집계됐다. 2003년(34.2%), 2008년(40.6%), 2013년(41.4%) 등 조사를 거듭할수록 여성 공무원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는 추세다. 신규채용 여성 합격자 비율이 높아진 점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오경진 기자 oh3@seoul.co.kr
2019-02-26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