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유휴부지 개발사업 공모, 하반기 13만㎡

박승기 기자
수정 2019-07-08 10:45
입력 2019-07-08 10:45
경부고속철도 오송역과 김천구미역 포함
민간제안 개발사업으로 추진되는 철도유휴부지는 영구시설물 축조가 가능하고 최장 30년까지 점용허가를 받아 사업을 진행할 수 있다. 대상지에는 하루 평균 이용객이 2만여명인 경부고속철도 오송역과 5000여명인 김천구미역을 비롯해 경강선 강릉역, 수인선 월곶역 등이다. 면적은 경춘선 가평역이 3만 947㎡로 가장 넓고 경기 광주역(2만 1752㎡) 등으로 1만㎡ 이상이다.
개발사업 대상지에 대해 민간이 제안한 사업계획서가 채택되면 사업주관자 공모 시 제안자에게 총 평가 점수의 3% 범위 내에서 가점이 부여된다. 공단은 매년 2회 정기적으로 개발가능 철도유휴부지를 발굴하여 공개할 계획이다.
한편 공단은 2022년까지 폐선·폐역 등 철도유휴부지 활용과 복합역사 및 역세권 개발사업을 통해 3만 5000명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고 민자역사 점용료 등 3800억원의 자산개발 수익을 올려 고속철도건설부채 상환재원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철도공단 김상균 이사장은 “철도자산의 효율적 활용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등 사회적 가치 실현에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