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뉴딜, 일자리·경제회생과 연결 설명
김강립 차관, 기자들에 “개학 두렵지만
언제까지나 계속 문 닫아걸 수는 없어”

코로나19 대응과 관련, 조 장관은 “2150t의 의료폐기물을 선제적으로 안전하게 처리했다”며 “저유가로 위축된 재활용시장 안정화를 위해 공공비축 확대 등 대책을 강화하고, 중소·중견 환경기업들이 경영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김 차관은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가장 아쉬웠던 상황으로 대구·경북 지역에서 생활치료센터를 여는 과정이었다고 털어놨다. 특히 확진환자가 병실이 없어서 대기하다가 집에서 사망한 사례가 나온 것이 공직 생활 30년 중 가장 가슴 아픈 순간이었다고 밝혔다.
김 차관은 오전·오후 하루도 거르지 않고 계속되는 정례브리핑을 하게 된 뒷얘기도 전했다. 그는 코로나19 초기 중국 우한 교민을 위한 임시생활시설과 관련 지역 주민을 찾아갔다가 물병 세례를 받았던 일을 회상하면서 “막연한 공포감을 줄여야 한다는 걸 절감했다. 고민 끝에 하루 두 번 브리핑을 하자고 제안했다”면서 “가능한 한 정보를 빠르고 신속하게 전달하는 계기가 됐다”고 자평했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서울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20-05-21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