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 문제 없다더니 “공공기관 권역별로 30분씩 에어컨 꺼라”

강국진 기자
수정 2021-07-20 00:55
입력 2021-07-19 22:32
온도 시간 규정 2013년 후 처음

19일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대구경북권은 오후 2시부터 2시 30분까지, 서울과 인천은 오후 2시 30분부터 3시까지, 호남은 오후 3시부터 3시 30분까지 전국 공공기관이 권역별로 돌아가면서 실내온도를 28도로 맞추도록 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 2일 정부부처와 공공기관 등에 공문을 보낸 데 따른 것이다. 공문은 “올해 7~8월 최대 전력 수요는 94.4기가와트(GW) 내외로 예상된다”며 “역대 최대 수요량은 92.5GW”라고 했다. 이어 “실제 공급 능력은 97.2~99.2GW”라며 “공급 예비력은 4.0GW(약 4%)로 유지하나 보통 5.5GW가 안정적”이라며 협조를 요청했다. 행정안전부 정부청사관리본부는 산업부 요청에 따라 세종청사 등 전국 13개 정부청사에 30분씩 냉방기를 정지하거나 부하를 최소화하는 ‘냉방기 순차운휴’를 시행해 28도로 맞추라는 지침을 보냈다.
조소연 행안부 정부청사관리본부장은 “여름철 공공기관 실내온도는 산업부가 정한 에너지효율 지침에 따라 28도를 유지하되 26도까지 낮출 수 있다”며 “이번 지침은 에어컨을 끄라는 게 아니다. 28도보다 실내온도가 올라가면 당연히 에어컨을 켤 수 있다”고 설명했다. 중앙부처 공무원 A씨는 “보통 근무시간에 실내온도를 27도로 맞추는데 냉방을 끄고 30분쯤 지나면 28도에 근접한다. 근무에 지장이 있는 정도는 아니다”라며 “다만 청사라고는 하지만 실내온도를 (정부가) 통제하겠다는 발상이 보기 좋지는 않다”고 말했다.
산업부가 여름철 냉방 운영 지침을 내려보내는 것은 해마다 이뤄지지만 구체적 시간까지 지정한 것은 2013년 이후 처음이다. 산업부는 “전력 공급 능력은 지난해와 비슷하고, 원전 설비용량은 2017년 22.5GW에서 올해 23.2GW로 늘었다”며 “올여름철 낮은 수준의 예비율은 산업생산 증가 및 기상 영향 등으로 전력 수요 전망치가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21-07-20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