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과원, “美 대선·생물보안법 제정 선제 대응 필요”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안승순 기자
수정 2024-10-17 10:33
입력 2024-10-17 10:33
생물보안법 발효 때 韓 글로벌 바이오 허브 부상 가능성↑

이미지 확대


3주 앞으로 다가온 미국 대선과 중국 바이오 기업 제재 내용을 담은 생물보안법(Biosecure Act) 제정 추진 등 산업환경 변화에 대한 선제 대응을 위해 지속적인 기술혁신과 글로벌 협력 국가 확대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이하 경과원)은 17일 미 대선과 생물보안법 이슈를 분석한 ‘미국 대선 향방, 우리 산업이 나아갈 길은’과 ‘미국의 공급망 재편 정책과 생물보안법: 한국 바이오산업의 기회와 도전’ 두 건의 보고서를 발간했다.

‘미국 대선 향방, 우리 산업이 나아갈 길은’ 보고서는 미국 대선과 관련해 해리스와 트럼프 양 후보의 주요 정책을 분석하고 정책 기조 차이에 따른 우리나라 반도체와 자동차, 바이오산업에 대한 영향을 중점적으로 다뤘다.

경과원은 미국 대선 결과에 따라 경제환경과 산업정책 등 여러 부분에서 변화가 예상되며 누가 당선되는지와 상관없이 향후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과 보호 무역주의 확대 기조는 계속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경과원은 ▲첨단기술 확보를 위한 R&D 및 기술혁신 강화 ▲글로벌 핵심 인재 양성 ▲수출전략 강화 ▲글로벌 다자간 협력 확대 등을 제시했다.

이미지 확대


‘미국의 공급망 재편 정책과 생물보안법: 한국 바이오산업의 기회와 도전’ 보고서에서는 현재 미국에서 입법을 추진 중인 생물보안법과 관련해 우리나라 바이오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생물보안법은 미국 정부가 자국 안보에 우려되는 바이오, 생명공학기업과 거래 및 계약, 보조금을 제공하는 것을 금지하는 내용을 담았다.

경과원은 생물보안법이 시행될 경우 중국 기업의 미국 내 입지가 약화됨에 따라 우리나라 바이오 기업이 글로벌 바이오 허브로 부상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다.

하지만 글로벌 기업 간 경쟁 과열 및 설비투자에 대한 부담 등 불확실성 또한 상존한다며 글로벌 바이오 공급망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국내 위탁개발생산(CDMO) 역량 강화 ▲글로벌 공급망 다변화 및 혁신 역량 강화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강성천 경과원장은 “이번 미국 대선과 생물보안법 입법 추진이 한국 산업에 미칠 영향이 큰 만큼, 선제적 전략 수립과 기민한 대응이 필수적이다”라며 “경과원은 변화하는 산업환경에 발맞추어 우리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지원과 동시에 시의성 있는 정책연구 수행을 통해 우리 산업과 경제정책의 방향성을 적시에 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안승순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