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설픈 매뉴얼·훈련이 대형재난 원인”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4-07-29 02:24
입력 2014-07-29 00:00

여운광 재난안전연구원장

여운광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이 세월호 참사와 관련, 과거 대형재난 사례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 13가지를 설명하며 가장 먼저 강조한 것은 “전조 없는 재난은 없다”였다.

이미지 확대
여운광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연합뉴스
여운광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연합뉴스
‘대형사고 전에는 항상 경미한 사고가 29번, 사소한 징후 300번이 있었다’는 ‘하인리히 법칙’은 재난에도 그대로 적용된다고 했다. 여 원장은 명지대에서 30년 넘게 토목공학과 재해대책 등을 연구한 뒤 개방형직위로 공직에 들어와 ‘스마트빅보드’ 완성을 최대 목표로 삼고 있다.

그는 “재난관리 실패는 정보공유 실패에서 비롯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빨리빨리, 대충대충 만드는 어설픈 매뉴얼과 훈련 등 졸속대책은 대형재난의 원인이 된다”면서 “동일한 맥락에서 규칙을 지키지 않는 행태가 재난의 기폭제가 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세월호 참사에서 잘 드러났듯이 과도한 경제적 이윤추구는 재난의 시작점”이라면서 “잘못된 정치논리는 재난을 키운다는 것도 잊으면 안 된다”고 말했다.

‘문제점은 알고 있다. 그러나 재난을 당한 뒤에 깨닫는다’는 교훈은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속담을 떠올리게 하는 교훈이다. 여 원장은 특히 “결정권자의 오판은 대형재난으로 가는 지름길”이라면서 “의사결정자는 오만해지기 쉽기 때문에 항상 겸손함과 책임감, 신중함을 잃으면 안 된다”고 경고했다.

그는 “재난의 특성에 무지한 재난정책이 바로 재난이다”면서 “반면 철저한 계획과 준비는 불운도 기회로 만든다는 교훈도 잊지 말아야 한다”고 밝혔다. 또 “재난은 재난에서 배운다는 것 그리고 방재(防災)는 없고 다만 감재(減災)만 있을 뿐이라고 역설했다. 그가 13번째로 언급한 교훈은 ‘언론관리가 곧 재난관리’였다. 그는 “세월호 참사 당일 벌어진 혼란은 공보기능 실패와 잘못된 보도가 얼마나 끔찍한 결과를 초래하는지 뼈저리게 느끼게 했다”고 덧붙였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14-07-29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