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랑이 장관님’ 주형환 산업의 부드러운 변신 왜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강주리 기자
강주리 기자
수정 2016-07-20 18:07
입력 2016-07-19 18:10

새 리더십 ‘주목’

‘호랑이 장관’으로 이름난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의 스타일이 요즘 확 달라졌다고 합니다. 이전에 비해 확연하게 부드러워진 리더십을 발휘하기 시작했다는군요.

이미지 확대
기획재정부 차관을 마치고 산업부 장관으로 온 주 장관은 이전 기재부 시절부터 부하 직원들이 하는 게 마음에 안 들면 면전에서 호통을 치기로 유명했습니다. “이 정도밖에 못해?”를 강하고 높은 톤으로 말한다고 생각하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 때문에 일부 실국장이 주 장관의 빈틈없는 문제 제기와 수정 지시를 한마디라도 놓칠세라 보고 때 몰래 휴대전화로 녹음을 해서 그대로 보고서 등에 반영한다는 말도 들립니다.

산업부의 한 간부는 “주 장관은 논리적 비약을 그냥 넘어가지 않는다”면서 “참고자료도 밑줄을 그어 가며 보는 데다 타고난 기억력이 너무 좋다 보니 본인이 지시한 수정 사항을 하나라도 빠뜨려 제출하면 바로 불호령이 떨어지곤 한다”고 말했습니다. 실국장들이 자정이 넘도록 청사에 남아 주 장관에게 제출할 보고서를 한숨지어 가면서 고치는 걸 봤다는 목격담도 적지 않습니다.

그렇게 6개월이 흐른 지금 주 장관의 스타일이 변했다는 얘기가 산업부 내에서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간부의 표정에 화색이 돈다는 겁니다. 예전에는 밤새워 보고서를 만들어 가도 수고했다는 말 한마디 없이 연신 지적만 했는데, 이제는 혼을 내더라도 말미에 “요구 사항이 많았는데 수고 많았네”라며 위로도 해 준다고 합니다. 한 간부는 “요즘은 장관님이 내 말에 고개도 끄덕여 주고 전보다 많이 웃어 주신다”고 전했습니다. 해외에서의 잦은 업무 지시도 최근 들어 많이 줄었다고 합니다.

이런 변화는 주 장관의 그동안 최대 난제였던 수출 감소가 어느 정도 완화되고 조직 내 안정과 자신감을 찾은 것과 무관하지 않다는 해석이 나옵니다. ‘호통 장관’을 둘러싼 불만 섞인 목소리나 루머도 주 장관이 못 들었을 리 만무합니다. 2개월 전 상사의 폭언에 시달리다 극단적 선택을 했던 젊은 검사의 사건이 주 장관의 리더십 변화에 영향을 준 것 아니냐는 의견도 일각에서 나옵니다. 정부가 추구해야 할 ‘양질의 정책’은 강압보다는 사명감에서 나옵니다. 명확한 비전 제시, 소통과 설득을 통해 직원들의 사명감을 끌어내는 리더십, 주 장관의 새로운 스타일에 산업부는 물론이고 그를 아는 많은 사람의 이목이 쏠리고 있습니다.

세종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2016-07-20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