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지하철 범죄 잡는 안전지킴이!
수정 2014-12-31 03:40
입력 2014-12-31 00:06
위급상황 실시간 신고 앱 출시…세이프존도 6곳 →16곳 확대
성폭력 등 지하철에서 발생하는 범죄를 신고하면 실시간으로 지하철 보안관과 경찰이 출동하는 애플리케이션(앱)이 출시된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의 ‘안심지하철 종합대책’을 내년부터 운영한다고 30일 밝혔다. 이제까지 지하철에서 범죄 상황이나 위급 상황이 발생하면 콜센터를 통해 경찰과 지하철 보안관에 신고가 접수돼 20~30분 정도의 시간이 걸렸다. 하지만 지하철 안전지킴이 앱은 신고 즉시 탑승 위치가 콜센터, 지하철 보안관, 경찰에게 동시에 접수된다. 시 관계자는 “현장에서 통화하거나 문자로 상황을 상세하게 신고하기 어려운 경우 앱 한가운데 버튼 하나만 누르면 바로 신고되고, 목격자가 사진을 찍어 실시간으로 신고할 수도 있어 현행범을 잡는데도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범죄·신고건수가 가장 많은 1∼4호선 구간은 내년 1월 1일부터 5~8호선은 내년 3월부터 적용된다. 심야 시간대에 보호받을 수 있는 시민안전지대인 ‘세이프존’도 현재 6곳에서 내년 1월까지 16곳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시는 지하철 보안관을 현재 149명에서 2018년까지 350명으로 늘리고, 전동차 안의 폐쇄회로(CC)TV도 1876대에서 3116대로 늘리기로 했다.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14-12-31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