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줌 인 서울] 서울 공유기업 300개 육성한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이경주 기자
이경주 기자
수정 2015-04-20 19:39
입력 2015-04-20 18:00

市 ‘공유 서울 2기 정책’ 발표

이미지 확대
서울시가 2018년까지 공유기업 300개를 육성한다. 하반기부터 시·구 청사, 공공박물관, 공공미술관의 개방 시간이 야간 및 주말까지 확대된다.

시는 20일 공유를 통해 교통·주차 문제, 주거문제, 환경문제 등 다양한 도시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하는 ‘공유서울 2기 정책’을 발표했다.

우선 일부 자치구에서 실시하는 거주자우선주차장과 한지붕세대공감, 아이옷 공유사업을 확대한다. 또 공영주차장 위주의 나눔카는 아파트 단지에 전용 주차면을 만들어 주택가로 확산시킨다.

그간 지정한 공유기업 중 5곳 이상을 공유 스타기업으로 선정해 맞춤 지원한다. 공유기업 지정 방식도 연 2회 지정에서 연중 언제나 가능토록 해 2018년까지 300개 이상으로 늘릴 계획이다.

하반기부터 시·구 청사는 물론 박물관, 미술관 등 공공시설물 개방시간을 야간 및 주말·휴일까지 최대한 연장한다. 또 번화가 및 대학가 등에서 카셰어링, 아이옷 나누기 등에 대해 분기 1회 이상 시민체험행사를 연다. 이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찾아가는 공유학교’를 시범 실시하고 ‘공유전문가 학교’를 운영해 공유 아이디어가 창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



시는 이번 공유서울 정책을 마무리하면 나눔카, 아이옷 공유 등을 통해 시민의 생활비 120억원이 절약될 것으로 예상했다. 또 주차공간 1만면을 공유해 1조 1800억원의 예산이 절약될 것으로 봤고, 1280개의 일자리 증가, 2만 9800t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도 기대하고 있다. 공유서울 정책의 총 예산은 113억 5000만원이다.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2015-04-21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