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양도성 성곽마을 7곳 담은 기록집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이범수 기자
이범수 기자
수정 2017-02-19 23:48
입력 2017-02-19 22:20

‘성곽마을 생활문화기록집’ 출간… 터줏대감 인터뷰 등 2년간 조사

서울시는 한양도성을 품은 7개 ‘성곽마을’의 역사와 생활상 등을 담은 ‘성곽마을 생활문화기록집’을 펴냈다.
이미지 확대
혜화·명륜권 성곽마을. 서울시 제공
혜화·명륜권 성곽마을.
서울시 제공
서울시 관계자는 “지난 2년 동안 마을 역사와 도시 형태, 생활문화자료 등을 조사하고 지역 ‘터줏대감’ 등을 인터뷰해 마을의 가치와 정체성을 담았다”면서 “2015년 재생계획을 수립하기 시작해 올해 본격적인 사업을 하는 성곽마을 조성에 참고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라고 19일 밝혔다.

조선시대 5대 명승지로 꼽히며 많은 문인이 찾아 풍류를 즐기던 이화·충신권 성곽마을은 대학로와 가까워 지금은 문화예술인이 많이 거주한다. 서울 최초 연립주택단지인 ‘이화동 국민주택단지’도 잘 보존돼 있다. 조선 후기 자생적인 민가촌으로 형성된 행촌권 성곽마을은 외곽에 사직단, 경희궁, 독립문, 경교장 등이 있고 내부에 ‘딜쿠샤’와 600년가량 된 은행나무, 홍난파 가옥 등 풍부한 문화유산이 있다. 딜쿠샤는 조선을 침탈한 일본의 포악한 통치 실상과 3·1 만세운동의 의의를 전 세계에 알린 미국 AP통신사 임시특파원 앨버트 테일러의 가옥을 일컫는다.



한양도성과 ‘자하문’이라 불리는 창의문이 있는 부암권 성곽마을은 안견의 몽유도원도 배경이 된 지역이다.이 밖에 성균관이 있어 조선시대 대학촌·하숙촌을 형성했던 혜화·명륜권 성곽마을, 남산 자락에 자리잡은 다산권 성곽마을, 조선시대 군사훈련장·운동장이 있던 삼선권 성곽마을, 수려한 자연경관으로 일제강점기 만해 한용운 등이 거주하며 문인촌을 형성한 성북권 성곽마을 등이 기록에 담겼다.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17-02-20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