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착한 일자리’ 2000개 만든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이재연 기자
이재연 기자
수정 2017-03-09 23:40
입력 2017-03-09 22:46

올해 예산 579억원 투입해 사회적경제기업 500개 육성

서울시가 올해 ‘사회적경제기업’을 4000개로 500개 더 늘리고, 공공구매를 1000억원 규모로 확대한다. 서울시는 579억원의 예산을 투입하는 등의 내용으로 9일 ‘사회적경제기업 5대 중점 지원계획’을 발표했다. 사회적경제기업은 이윤 극대화 대신 시장경제로 인한 빈부격차, 환경파괴 등 부작용의 해법을 추구한다.
이미지 확대
서울시는 올해 500개 사회적경제기업을 추가 육성해 신규 일자리 2000개를 창출하기로 했다. 그중 40개 기업을 우수기업으로 선정, 3년간 맞춤형 지원한다. 서울시의 사회적경제기업 수는 2011년 718개에서 지난해 말 3501개로 약 5배 증가했다. 이들 기업은 전체 근로자 중 41%를 취약계층으로 고용한다.

공공구매액 규모는 1000억원으로 지난해 대비 144억원(14.4%) 늘렸다. 판로 확대를 위해 한살림 등 15개 소비자 생협 매장에 납품을 지원한다. 공공구매액 규모는 2011년 116억원에서 지난해 856억원으로 7.4배 늘었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올해 일반예산 319억원, 기금 융자금 160억원, 민간기금조성 100억원 등 579억원을 투입한다. 사회투자기금은 민간기금 100억원을 더해 올해 800억원으로 늘리고, 운영방식은 민간위탁에서 직영으로 바뀐다. 사업비를 최대 5억원까지 지원하는 사회적경제특구는 강동·은평 등 10곳으로 4곳 추가했다.



유연식 서울시 일자리노동정책관은 “사회적경제기업들이 안정화 단계에 접어들며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 효과가 나타난다”며 “일자리 창출과 사회공헌, 두 마리 토끼를 잡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17-03-10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