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무장애 관광도시’ 조성에 152억 투입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수정 2017-08-22 23:46
입력 2017-08-22 22:36

2022년까지 관광시설 100곳 휠체어 통행 편리하게 개·보수

관광 약자 맞춤형 코스 매년 확대

서울시가 장애인, 노약자도 관광하기 좋은 도시로 변모한다.

시는 주요 관광지를 개·보수해 휠체어가 불편 없이 드나들고, 장애인과 노약자 눈높이에 맞춘 관광 코스를 개발하는 등 앞으로 5년간 152억원을 투입하는 ‘무(無)장애 관광도시 조성 계획’을 22일 발표했다.

서울에 사는 39만명의 장애인과 130만명의 65세 이상 인구를 합치면 전체 서울 인구의 약 17%에 달하는 상황에서 ‘관광 약자’도 맘 편히 관광을 즐길 수 있는 ‘관광 향유권’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다.

우선 명동, 이태원 등 6개 관광특구의 호텔, 음식점 등 관광시설 100곳을 2022년까지 장애인도 편리하게 드나들 수 있도록 개·보수한다. 개인 사업자는 최대 1000만원까지 지원할 예정이다. 관광 약자를 위한 편의시설을 갖춘 곳에는 ‘무장애 인증’을 줄 예정이다.



또 시는 내년 최대 8명이 탈 수 있는 ‘장애인 관광버스’ 2대를 도입하는 등 장애인 관광버스를 늘릴 계획이다. 장애인, 노약자, 영·유아 동반 가족 등 누구나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무장애 관광 코스’도 현재 29개에서 매년 10개 이상 확대한다. 시는 이런 내용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고자 ‘서울시 관광 약자를 위한 관광환경 조성 조례’ 제정도 추진한다.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
2017-08-23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