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행정] ‘역사가 브랜드’… 100년 전 명동을 불러내다
최훈진 기자
수정 2018-03-29 22:14
입력 2018-03-29 20:22
역사투어 떠난 최창식 중구청장
“조선시대 가난한 선비들이 모여 살던 ‘명례방’에서 ‘명’을 따와 일제강점기 땐 ‘명치정’이라고 불렸습니다. 각종 상점과 백화점이 들어선 일본인 타운을 거쳐 해방 후 1950~70년대엔 통기타 음이 울려 퍼지는 ‘낭만의 거리’가 됐습니다. 군부정권 시절엔 명동성당이 ‘민주화의 성지 또는 심장’의 역할도 맡았죠.”

명동성당 맞은편에 지난해 조성된 명동문화공원을 기점으로 유네스코빌딩까지 16개 지점을 지나는 2km 코스다. 지금은 형체 없이 사라진 조선시대 양반의 집터들이 소개됐다. 이 해설사는 “1920년 현재 가치 2조원 상당의 전 재산을 팔아 항일운동을 펼친 우당 이회영 선생의 일가가 만주로 건너가기 전 살았던 집터”라고 했다. 이에 최 구청장은 “그 당시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한 인물인데 모를 수가 없다. 구청 직원들한테 이회영 선생의 삶은 담은 책도 한 권씩 선물했다”면서 고개를 끄덕였다.
이 밖에도 우리나라 최초의 순교자인 김범우, 조선 중기 문인이자 시인인 윤선도 등이 생전에 머물던 자리를 찾았다. 투어 참가자들은 저마다 100여년 전 명동의 모습을 상상하며 사색에 잠겼다.
근대건축물도 돌아봤다. 조선은행(한국은행 본점), 미쓰코시 백화점(신세계 백화점), 경성우체국(중앙우체국) 등이다.
1920~70년대 문화예술의 중심지로 사용된 은성주점, 쉘브르, 봉선화 등 술집과 다방도 소개됐으나, 전부 쇼핑시설로 바뀌어 아쉬움을 자아냈다. 최 구청장은 “남아 있었다면 프랑스 파리의 몽마르트르 언덕처럼 세계인이 찾는 관광 명소가 됐을 수도 있는데 안타깝다”면서 “지금이라도 명동의 가치를 제대로 알리려고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
구는 동방살롱, 문예서림, 오비스캐빈, 은성주점, 국제양장사, 명동예술극장, 명동아동공원 등 40곳을 근현대문화명소로 지정해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로 옛 모습을 구현하는 작업이 한창이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8-03-30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