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역에 택배 보관·접수 ‘생활물류센터’ 생긴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수정 2020-06-02 06:43
입력 2020-06-01 18:10

올해 20곳 설치해 물품보관 위주 서비스

2022년 100곳으로 늘려 신선물류 사업도
빅데이터 활용해 역사별 맞춤 센터 계획
이미지 확대
서울 시청역에서 시민들이 지하철을 이용하고 있다. 2019.11.22 연합뉴스
서울 시청역에서 시민들이 지하철을 이용하고 있다. 2019.11.22 연합뉴스
서울 지하철역에 택배를 보내거나 받고 짐도 맡길 수도 있는 생활물류 지원센터 100여곳이 설치된다.

서울교통공사는 2022년까지 도시철도 인프라(지하철역, 차량기지, 여객열차 화물용)를 활용해 도심 내 생활물류 활동을 지원하는 생활물류체계를 구축하겠다고 1일 밝혔다. 생활물류 지원센터는 역사의 공실 상가와 유휴공간 등에 설치된다. 유무인 택배물품 보관·접수·픽업, 개인물품 보관, 개인교통수단 관리, 스마트폰 배터리, 우산 대여 서비스 등을 제공할 예정이다.

공사는 1단계로 올해 지원센터 20곳을 설치해 물품보관 위주의 단일 물류서비스를 제공하고, 내년에는 2단계로 50곳으로 규모를 늘리고 택배 접수와 배송·세탁 서비스 등 생활밀착형 물류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 2022년에는 3단계로 지원센터를 100곳으로 늘리고 신선물류와 편의점 등 유통 서비스로 사업 범위를 확장할 계획이다. 공사는 빅데이터를 활용해 역사별 맞춤 서비스를 제공한다. 직장인이 많아 택배 서비스 수요가 많은 을지로입구역에는 택배 중심 지원센터를 설치하고, 문화·관광시설이 많은 홍대입구역에는 유인 보관소 및 물품대여 중심 지원센터를 설치하는 식이다.

공사는 또 지하철 물류수송 체계의 핵심인 차량기지 내 물류시설 설치를 위해 사업타당성 용역을 수행 중이다. 지난 2월 개발제한구역특별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차량기지 내 택배분류시설 개발이 허용됐다. 김상범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21세기 지하철은 단순 여객운송만이 아니라 지역 생활의 중심으로 자리잡아야 한다”며 “공사는 시민 편의 증진과 복합 부가가치를 창출해 공기업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

2020-06-02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