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벽등반 해볼래? 유튜버도 돼볼래? 키움센터로 오래!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조희선 기자
조희선 기자
수정 2020-12-07 08:34
입력 2020-12-06 17:46

서울 ‘거점형 키움센터’ 호평 비결은

1000㎡ 이상 넓은 공간서 돌봄 서비스
노원 1호점, 문화·예술 활동 경험 인기
동작 ‘스페이스 살림’ 2호점 이달 개관
4차 산업 체험 풍성… 내년 25곳 확대
이미지 확대
서울시가 운영하는 초등돌봄시설 ‘거점형 우리동네키움센터’는 1000㎡ 이상의 규모로 조성된다. 활동량이 많은 초등학생들이 마음껏 뛰어놀면서 문화·예술·체육 활동을 경험할 수 있다. 노원구에 있는 1호 거점형 우리동네키움센터에서 어린이들이 실내 암벽 등반을 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서울시가 운영하는 초등돌봄시설 ‘거점형 우리동네키움센터’는 1000㎡ 이상의 규모로 조성된다. 활동량이 많은 초등학생들이 마음껏 뛰어놀면서 문화·예술·체육 활동을 경험할 수 있다. 노원구에 있는 1호 거점형 우리동네키움센터에서 어린이들이 실내 암벽 등반을 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아이가 놀이공원보다 ‘거점형 우리동네키움센터’를 더 좋아해요. 쉽게 배우기 어려운 국악이나 무용 등 다양한 활동을 경험할 수 있어서 좋아하는 것 같아요.”

올해 아이의 초등학교 입학을 앞두고 권유경(42)씨는 걱정이 많았다. 학교가 끝나고 아이를 돌봐줄 곳이 마땅치 않았기 때문이다. 여기에 코로나19로 야외 활동이 줄어들면서 아이가 답답해하는 모습을 보는 것도 안타까웠다. 하지만 거점형 키움센터에 아이를 보내면서 이런 걱정이 뚝 떨어졌다. 권씨는 “키움센터가 돌봄 문제는 물론 교육에 대한 걱정도 많이 덜어 줬다”며 만족해했다.

자녀가 초등학교에 입학하면 맞벌이·한부모 가정은 고민이 깊어진다. 방과후나 방학 등 틈새 시간에 아이를 마음 놓고 맡길 곳이 없어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시가 내놓은 게 ‘우리동네키움센터’다. 키움센터는 집과 학교에서 가까운 곳에 있는 ‘일반형’(66㎡ 이상), 일반형 센터 5~6곳을 묶어 마을 단위로 지원하는 ‘융합형’(210㎡ 이상), 지역별 특화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점형’(1000㎡ 이상) 등 세 가지가 있다. 2018년 6월 성북구 장위1동에 첫선을 보인 키움센터는 지금까지 시 전역에 106곳이 들어섰다.
이미지 확대
1호 거점형 우리동네키움센터에서 어린이들이 그림자놀이 수업을 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1호 거점형 우리동네키움센터에서 어린이들이 그림자놀이 수업을 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특히 눈에 띄는 건 거점형이다. 지난 10월 노원구 상계동에 1호점을 연 거점형 키움센터는 ‘아이들이 안전한 공간에서 마음껏 놀며 배우는 곳’을 표방하며 국내 최초로 핀란드 아난탈로 아트센터의 교육 방식을 도입했다. 아난탈로 아트센터는 “예술 교육을 통해 단 한 명의 패배자도 만들지 않겠다”는 교육 철학으로 운영되는 공공 교육기관이다. 키움센터 공간확정 심사위원인 최영 중앙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각 지역구에서 마을 돌봄 시설을 확충하고 있지만 한창 활동량이 많은 초등학생 아이들이 신체활동을 하기에는 공간이 협소했다”면서 “미세먼지와 코로나19로 외출이 줄어든 아이들을 위해 문화·예술·체육 활동을 한 번에 경험할 수 있는 거점형 키움센터 같은 곳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1호 거점형 키움센터는 아이들이 스스로 제안한 프로젝트를 다른 친구들과 협력하면서 학습하는 ‘프로젝트 기반 배움’(PBL)을 통해 아이들이 학습을 주도하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했다는 점에서 더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이달 중 문을 여는 2호 거점형 키움센터에 마련된 ‘방송 크리에이터실’. 유튜버 체험 등을 할 수 있다. 서울시 제공
이달 중 문을 여는 2호 거점형 키움센터에 마련된 ‘방송 크리에이터실’. 유튜버 체험 등을 할 수 있다.
서울시 제공
반응이 좋자 서울시는 이달에 거점형 키움센터 2호점의 문을 연다. 동작구에 위치한 여성 창업 지원 공간 ‘스페이스 살림’에 개관하는 2호 거점형 키움센터는 4차 산업에 기반한 체험 활동을 선보인다. 최정아 2호 거점형 키움센터장은 “‘스페이스 살림’ 내 입주한 기업들 가운데 미술 놀이로 배우는 전기 회로 만들기, 미디어 아트 체험 등 4차 산업과 관련한 곳들이 있어 아이들을 위한 콘텐츠 개발을 위해 협업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공간 특성상 복도가 넓고 야외로 뚫린 공간도 있어 ‘미로 찾기’처럼 공간을 활용한 활동도 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서울시는 내년까지 서울 전역에 거점형 키움센터 25곳의 설치를 확정할 계획이다. 강지현 서울시 아이돌봄담당관은 “더 많은 아이들이 더 넓고 쾌적한 공간에서 다양한 문화예술 활동을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한편 현재 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로 키움센터는 프로그램 운영을 중단하고 긴급 돌봄 서비스만 제공하고 있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2020-12-07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