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으로 책으로, 역사기행 떠나볼까] 군사기지 숨은 유적 자취 따라…
수정 2014-08-06 00:00
입력 2014-08-06 00:00
용산기지 1800년 담은 책자 발간
책은 러·일전쟁 이전의 용산, 러·일전쟁과 용산기지의 탄생, 용산기지 내 각 부대와 주요 시설 현황, 강제 병합과 용산기지, 해방 정국하의 용산기지, 6·25전쟁과 용산기지 등 11장으로 구성됐다.
군사전략 요충지였던 용산기지에는 숨겨진 유적과 이야기가 수두룩하다. 100년 이상 외국 군부대가 주둔하면서 외부인의 접근이 통제됐던 이곳에는 미·일 군사시설로 지어진 근대 건축물이 남아 있다. 일제가 만주사변 때 일본군 전사자들을 기념하며 세운 충혼비는 현재 6·25전쟁 당시 미군 전사자들을 기리는 기념비로 사용되고 있다. 일제강점기 때 조선 총독의 연회장으로 쓰인 아방궁은 제2대 조선 총독 하세가와가 러·일전쟁 직후 남은 군사비로 지었다고 전해진다. 현재 그 자리에는 121병원이 들어섰다. 책자 발간을 위해 구와 용산향토사연구가인 김천수씨가 힘을 모았다. 김씨는 “이번 책이 용산기지의 역사적 정체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 용산공원 조성에 작은 길잡이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성장현 구청장은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용산공원 조성에 주민들의 목소리를 담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화답했다.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2014-08-06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