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산층·교육특구 강남은 잊어라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4-09-10 00:46
입력 2014-09-10 00:00

중산층 비율·교육비 지출 감소

두꺼운 중산층, 높은 교육비로 유명한 서울 강남구가 변하고 있다. 지난해 처음으로 월 500만원 이상 소득 가구가 절반을 넘었고, 월 200만원 미만 소득 가구 수는 2년 만에 2배 이상 늘어나는 등 양극화가 심해져 교육 1번지의 메리트에 대한 주민들의 생각이 달라지고 있다.

이미지 확대
9일 ‘2013년 강남구 사회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월 가구소득이 500만원 이상인 가구 비율은 2007년 21.3%, 2009년 25.7% 등 20%대에 머물다가 2011년 47%로 급증했고 지난해 57.9%를 기록했다.

이 중 월 1000만원 이상 소득을 올리는 가구는 2011년 6.7%에서 지난해 7.1%로 증가했다. 200만원 미만을 버는 가구는 2011년 3.6%에서 지난해 8.5%로 2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반면 중산층인 월수입 200만~500만원 가구(1인 이상 도시가구 월평균 소득 361만원)는 2011년 49.5%에서 33.6%로 크게 줄었다. 상대적으로 소득이 적은 1인 가구 비율도 26.2%로 서울시 평균(24%·2012년 기준)보다 높았다.

강남구에 사는 이유로 꼽는 ‘뛰어난 교육 여건’이 2011년 17.4%에서 16.7%로 다소 낮아졌다. ‘옛날부터 살아와서’가 28.7%에서 30.6%로 늘었다. 교육비 지출 부담도 2011년 34.2%에서 22.8%로 줄었다. 오히려 같은 기간 주거비 지출 부담은 9.1%에서 16.9%로 급증했다.

다만 심화되는 여초 현상은 우리 사회의 여풍을 감안할 때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된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해 남성 100명당 여성 수는 108명으로 서울 25개 자치구 중 여성 비율이 가장 높았다.

중산층 감소는 전세가격 급등과 연관이 있고, 저소득층 증가는 구룡마을 등 재개발 사업 지연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한편에선 강남 브랜드를 규정짓던 정보기술(IT)·교육·소비가 각각 경기 판교, 노원구, 이태원·홍대에 쫓기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구 역시 이런 변화를 오래전부터 읽고 있다. 구 관계자는 “한류 관광 및 MICE(회의·관광·컨벤션·전시회) 산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삼고 있으며 저소득층 학비지원사업, 푸드뱅크, 청소년 학습방 등 저소득층을 위한 각종 복지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면서 “연내에 대규모 복지 대책을 내놓겠다”고 말했다.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2014-09-10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