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북구 ‘친환경공공급식’ 체계 만들기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4-11-21 03:24
입력 2014-11-21 00:00

포럼 개최… 유아시설까지 통합 관리

친환경 공공급식정책이 시행될 전망이다.
이미지 확대
김영배 서울 성북구청장
김영배 서울 성북구청장


서울시에서 처음으로 친환경무상급식을 시작했던 성북구는 내년에 친환경공공급식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안전한 급식협의회를 가동해 친환경 공공급식정책을 선보일 계획이라고 20일 밝혔다. 이를 위해 지난 18일 공공급식 정책 도입을 위한 포럼을 개최했다. 공공급식은 먹을거리에 대한 보편적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급식의 모든 식재료에 대해 사용 기준과 원칙을 세우고 센터가 총괄 관리하는 것이다.

현재 급식지원의 책임을 학교가 전적으로 진다면 어린이집과 유아시설까지 확대해 공공급식시설 전체를 원스톱 시스템으로 통합 관리하게 된다. 또 친환경무상급식 학부모 모니터단 활동을 사회적 기업 또는 민간단체와 협력해 확대 운영한다.

포럼에는 국공립어린이집, 유치원, 지역아동센터, 초등학교 영양교사, 친환경무상급식 학부모 모니터단, 친환경급식지원센터,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의 대표가 패널로 참석했다. 또 전문가 패널로 서울시공공급식제도를 연구해 온 농민정책연구소 ‘녀름’의 장경호 부소장과 전북 완주군 전 공공급식정책담당관이었던 나영삼 지역파트너 대표가 참여했다. 사회를 맡은 우석훈 박사는 “아이 둘을 키우는 아빠로서 농업과 농민을 고려하는 연대의식으로 공공급식정책을 함께 모색해 나갈 것이며 마을 민주주의를 통해 한층 발전된 급식체계가 만들어질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영배 구청장은 “아이들에게 제공되는 급식은 주민권리보호차원에서 정책으로서 접근해야 한다”면서 “어린이의 행복이 지속가능한 사회로 거듭나기 위한 중요한 과제”라고 말했다.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2014-11-21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