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경야독’ 학사모 상인 ‘장사꾼’서 경영인으로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최지숙 기자
수정 2015-07-27 23:06
입력 2015-07-27 22:54

중구, 방산시장 제1기 상인대학 졸업식

“제 평생 처음입니다. 시장에서 장사만 하다 학사모를 쓰게 될 줄이야….”

이미지 확대
지난 24일 오후 중구청 합동상황실에서 열린 ‘방산시장 상인대학 졸업식’에서 최창식(왼쪽 일곱 번째) 중구청장과 졸업생들이 주먹을 쥐어 보이고 있다. 중구 제공
지난 24일 오후 중구청 합동상황실에서 열린 ‘방산시장 상인대학 졸업식’에서 최창식(왼쪽 일곱 번째) 중구청장과 졸업생들이 주먹을 쥐어 보이고 있다.
중구 제공
졸업생 김종숙(69·여)씨의 눈에 눈물이 고였다. 자녀 셋을 대학에 보내기 위해 시장에서 평생을 바친 지난날. 자신에게 배움은 사치라 여겼던 과거가 스쳐갔다.

지난 24일, 중구청 지하의 합동상황실에서는 작지만 뜻 깊은 졸업식이 열렸다. ‘방산시장 제1기 상인대학’ 졸업식이었다. 저마다 낡은 옷 대신 근사한 졸업 가운을 걸치고 학사모를 썼다. ‘장사꾼’이 아닌 ‘경영인’으로 거듭나는 순간이었다. 어색해하는 이들도 있었지만 얼굴에는 웃음이 가득했다. 행사에서는 학사 보고와 함께 졸업장 및 표창장 수여식, 소감문 발표 등이 진행됐다. 바쁜 시간을 쪼개 성실히 수업에 참여한 상인들에게 최창식 중구청장이 직접 상장을 수여했다.

구는 지난 3월 중소기업청이 주관한 ‘2015 경영혁신 지원사업’을 통해 3억여원을 지원받아 지역경제 활성화에 나섰다. 방산시장 상인대학은 전통시장 상인들의 역량 강화를 위해 시작한 첫 프로그램이었다. 얼마나 참여할지 반신반의했지만 모집 공고를 보고 60여명의 상인들이 모였다. 상인들은 지난달부터 매주 3일씩 장사를 마친 뒤 상인회 사무실에 모였다. 저녁 7시부터 시작되는 수업이 피곤할 법도 했지만 그들의 눈은 빛났다. 경영 기법부터 상품 개발, 포장 및 진열, 세무 특강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해 관련 전문가와 교수들이 강사로 나섰다. 특히 가장 인기가 좋았던 과목은 ‘장사 잘하는 비법’이었다. 졸업생 최승권(44)씨는 “그동안 수동적인 장사 방식에 위기의식을 느껴왔다”면서 “장사에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 내용들과 고객관리 비법 등을 배우니 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구는 이달 말과 오는 9월에 각각 동평화·남평화 시장 상인대학 입학식을 열어 배움의 열기를 이어갈 예정이다. 최 구청장은 “상인들이 변해야 전통시장이 산다.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배우고 전문적 능력을 갖춰야 시장 활성화가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최지숙 기자 truth173@seoul.co.kr
2015-07-28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