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이상 거주 주민이 70% “함께 사는 골목동네 만들 것”

이경주 기자
수정 2015-10-02 01:04
입력 2015-10-01 23:44
서울 동작구 도시재생대학 수료식
“노후 거주 지역으로 특색이 없어 서울시가 도시 재생 시범 지역 5곳 중 가장 걱정했던 서울 동작구 상도4동이 주민 열의 하나로 최고의 기대주가 됐습니다.”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이날 3개월(10회)의 도시 재생 교육과정을 마친 46명이 수료장을 받았다. 직능단체나 마을활동가들이 이끄는 다른 곳과 달리 상도4동은 주민 108명이 참여하는 주민협의체가 중심이다.
개발 이익을 노리는 재개발꾼도 지쳐 떠날 정도라던 더딘 발전은 오히려 마을에 대한 애착이 높은 장기 정주자만 남는 이유였다. 10년 이상 거주한 주민이 10명 중 7명이다. 이들은 구와 함께 ‘함께 사는 골목 동네’를 꿈꾼다.
사실 이곳은 건물의 65%가 20년 이상 됐다. 뉴타운 해제 지역인 성북구 장위동, 구두 장인의 거리인 성동구 성수동, 유적지가 있는 강동구 암사동, 주변 상권이 인상적인 서대문구 신촌동 등과 달리 특색이 없다는 점에서 시의 걱정거리였다. 하지만 주민들의 열의는 최고였다. 5번의 도시 재생 설명회에 700여명이 참여했고 도시재생대학도 50명 중 탈락자는 4명뿐이다. 30년 이상 상도동에서 거주한 이 구청장의 마을 이해도 역시 도움이 됐다.
이날 최연소로 수료한 정형빈(33)씨는 “지난해 9월 우연찮게 도시 재생 설명회를 들었고, 평생 이곳에서 살면서 느꼈던 변화의 바람을 표현하고 싶어 참여했다”면서 “직업이 고객만족서비스 강사인데 지역의 양녕대군 묘를 알리고 중소기업의 서비스 의식을 높이는 데 도움을 주고 싶다”고 말했다.
수료식에서는 마을 개선 아이디어 공모전 수상식도 있었다. 강문식씨 등은 상도4동 마을버스 8번 버스 차고지 앞에 한편에만 폭 1.2m의 보도가 있어 혼잡하고 사고 위험성이 있다며 보완책을 제안해 최우수상을 받았다. 구 관계자는 “10월 22일부터 도시 재생 교양 강좌를 열고 내년 4월에는 도시재생대학 2기를 모집하는 등 지속적인 교육으로 주민들의 궁금증을 채우겠다”고 말했다.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2015-10-02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