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도 등 태양광 수요 급증… 전 세계 발전량 1년 새 24% 증가

송수연 기자
수정 2018-04-17 17:52
입력 2018-04-17 17:46


최근 태양광 발전의 빠른 성장세를 주도한 나라는 중국이다. 2016년 기준 전 세계 태양광 발전 용량은 2015년과 비교해 50% 증가한 74GW였다. 증가량 중 거의 절반가량을 중국이 차지할 정도로 급성장했다. 태양광 투자를 유치하고자 신규 공장을 설립하면 설비 보조금을 주거나 2~3년간 소득세를 감면해 주는 등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에 힘입은 결과라는 평가다. 신규 태양광 보급에 힘쓰고 있는 일본은 소형 태양광 수요가 2012년 이후 매년 30%가량 급성장하고 있다.
개발도상국 중에서는 인도가 태양광 강국으로 급부상했다. 대규모 전력이 어려운 인도에서는 태양광이 중요한 전력 공급 수단으로 떠오르고 있다. 또 풍부한 일사량과 낮은 건설 비용으로 성장 잠재력이 높다는 전망이다.
아시아 국가들보다 태양광 발전에 일찌감치 뛰어든 나라는 독일, 프랑스, 영국 등 유럽 국가들이다. 독일은 2006년에는 유럽연합(EU) 국가 중 최초로 보조금 정책인 발전차액지원제도(FIT)를 마련해 태양광 발전을 장려하는 등 다양한 지원 정책을 펴 왔다. 2022년까지 원자력발전소를 폐쇄하고,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 비율을 50%까지 높인다는 목표를 세웠다.
일본 후쿠시마원전 참사 이후 세계 2위 원자력 발전 강국인 프랑스는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율을 32%까지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태양광 발전 비중을 꾸준히 높이고 있다.
미국도 지난 10여년간 재생에너지 발전 설비 규모를 대폭 늘려 왔다. 2015년 기준 재생에너지 설비 용량 증가 부분에서 중국에 이어 세계 두 번째로 큰 시장이다.
송수연 기자 songsy@seoul.co.kr
2018-04-18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