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이 디자인한 행복학교… 강동의 파격 실험

정서린 기자
수정 2019-08-30 03:39
입력 2019-08-29 17:52
강명초·고덕중 등 초·중 10곳 선정
이 구청장 “가고 싶고 머물고픈 학교로”

강동구 제공
행복학교는 학교의 도서관, 복도, 로비, 옥상 등 학생들이 자주 머물고 활용하는 공용 공간을 창의적이고 쓸모 있게 바꾸는 교육환경 개선사업이다. 학생과 학부모, 교사가 직접 디자인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획일화된 학습 공간을 창의적이고 상상력이 풍부한 공간으로 변화시킨다는 게 핵심이다. 학교의 실질적인 주인들이 주도적으로 원하는 배움터의 모습을 완성해 학교를 공부만 하는 곳이 아닌 꿈과 재능을 마음껏 발산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재탄생시키는 것이다.
구는 지난 4월 공모해 강명초, 강솔초, 묘곡초, 성내초, 성일초 등 5개 초등학교와 강명중, 고덕중, 천일중, 천호중, 한영중 등 5개 중학교를 행복학교로 선정했다. 예산은 학교별로 1억원씩 총 10억원을 투입하며 재원은 100% 구비로 마련했다. 강동을 ‘행복한 교육도시’로 이끌려는 이정훈 강동구청장의 의지와 노력이 엿보이는 대목이다. 행복학교 조성에는 구 도시경관총괄기획가와 공공건축가 5명의 조언이 더해져 전문성과 효율성도 갖췄다.
올해 첫선을 보인 행복학교는 성일초등학교로, 정문 입구에 학교 화단과 나무에 어울리는 목재 데크를 설치해 아이들의 공연 무대를 새롭게 마련했다. 공연이 열리지 않을 땐 학부모 등 외부 방문자와의 만남 장소로 활용할 계획이다. 30일 행복학교 개관식을 여는 성내초등학교는 낡은 책상과 의자가 가득 차 좁고 답답한 느낌이었던 도서관에 알록달록 색을 입히고 계단형 마루, 다락방 형태의 독서 공간을 조성해 활동적이고 개방적인 행복도서관을 만들었다.
이 구청장은 “딱딱하고 형식적인 학교 공간이 아이들에게 즐거운 배움터가 될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하겠다. 학생과 교사 등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아이들이 가고 싶고 머물고 싶은 학교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9-08-30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