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북, 학교 주변 유해업소 근절한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황비웅 기자
황비웅 기자
수정 2021-01-07 02:41
입력 2021-01-06 20:02

유관기관 합동단속… 93%가 문 닫아
중개업소·건물주도 동참… 41곳 폐업

이미지 확대
서울 강북구 주민들로 구성된 동별 추진협의회가 미아사거리역 주변에서 유해업소 근절 캠페인을 펼치고 있다. 강북구 제공
서울 강북구 주민들로 구성된 동별 추진협의회가 미아사거리역 주변에서 유해업소 근절 캠페인을 펼치고 있다.
강북구 제공
서울 강북구는 학교 주변 청소년 유해업소가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 근절운동을 추진한다고 6일 밝혔다.

학교 주변 유해업소 근절운동은 구가 2015년부터 전국 최초로 추진했다. 우선 교육지원청, 경찰서 등 유관기관 합동단속부터 시작했다. 여기에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대규모 홍보 활동을 전개하며 힘을 보탰다. 현재 총 180개 업소 가운데 약 93%에 해당하는 167곳이 문을 닫았다.

학교 주변 유해업소는 보통 일반음식점 영업신고 후 유흥주점 형태로 변형돼 운영된다. 주로 임대료가 저렴한 학교 주변이나 주택가에 밀집돼 있어 학생들의 통학로 안전을 위협한다.

유해업소 점검은 유관기관별 업무의 경계를 허문 합동단속 방식으로 이뤄진다. 코로나19 확산세에 따라 다소 유동적이나 주민들로 구성된 동 추진협의회의 인식 제고 활동과 함께 보건소 자체 점검반이 단속 활동을 이어 가고 있다.

이와 함께 부동산 중개업소와 건물주가 동참하는 유해업소 근절운동도 변함없이 계속된다. 지역사회와 함께 힘을 모으는 작업이다. 구는 이들 업소가 있는 건물의 소유주를 찾아다니며 동참을 호소했다. 41곳이 건물주를 설득해 폐업한 사례다.

구는 앞으로 신규 유해업소 발생을 막는 일에도 무게를 둘 계획이다. 아직 영업 중인 13개 가게에는 보다 더 실효성 높은 단속을 한다. 생계 곤란 등의 사유로 폐업이 어렵다면 업종 전환을 권장할 방침이다.

박겸수 강북구청장은 “청소년 유해업소가 발을 들이지 못하는 동네라고 인식될 수 있도록 아낌없는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2021-01-07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