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등포 ‘공유어린이집’ 신선한 실험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수정 2021-08-25 02:31
입력 2021-08-24 17:02

국공립과 가정 어린이집 3~5개씩 묶어
보육공동체 협력 통해 서비스 질 높여

이미지 확대
서울 영등포구가 다음달부터 3~5개 어린이집을 하나로 묶어 공동 운영하는 ‘서울형 공유어린이집’을 선보이는 가운데, 영등포구 내에 있는 한 어린이집에서 어린이들이 해맑게 웃고 있다. 영등포구 제공
서울 영등포구가 다음달부터 3~5개 어린이집을 하나로 묶어 공동 운영하는 ‘서울형 공유어린이집’을 선보이는 가운데, 영등포구 내에 있는 한 어린이집에서 어린이들이 해맑게 웃고 있다.
영등포구 제공
서울 영등포구가 국공립·가정 어린이집 간 공동협력을 통해 새 보육 운영 모델인 ‘서울형 공유어린이집’을 선보인다고 24일 밝혔다. 서울형 공유어린이집은 도보권에 있는 3~5개 어린이집을 하나로 묶어 공동 운영하는 보육 공동체로, 어린이집 간 상생 발전을 통해 보육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 계획됐다.

영등포구는 문래동과 양평2동 권역을 올해 서울형 공유어린이집 시범사업 공동체로 선정, 다음달부터 본격적으로 운영을 시작한다. 문래동 권역은 국공립 어린이집 3곳(목화마을, 문래동, 문래자이)과 가정 어린이집 1곳(행복드림), 양평2동 권역은 국공립 어린이집 3곳(늘해랑, 양평2동, 반디)과 가정 어린이집 1곳(한사랑)으로 총 8개 어린이집이 이번 시범사업에 참여한다.

구는 우선 공동체 내 어린이집 간 정·현원 공유 및 원아 공동 모집을 통해 국공립에만 치우치는 입소 대기 문제를 해소하고 보육수급 불균형을 개선할 방침이다. 부모 설명회, 시설 견학, 특화 프로그램 진행 등 어린이집 간 격차 완화 및 활성화를 위한 지원책도 함께 마련한다. 또한 비용 부담 문제로 가정 어린이집에서 개별적으로 추진하기 어려웠던 각종 프로그램을 공동체가 공동으로 기획·운영하도록 돕는다.

채현일 영등포구청장은 “공유어린이집을 통해 저출산과 원아 감소 등 환경 변화에 따른 어린이집 운영 부담은 덜고 보육서비스 질은 높일 것”이라며 “보육의 공공성 실현을 위해 국공립 어린이집을 지속 확충하는 한편 국공립·가정(민간) 어린이집이 서로 협력·보완해 모든 어린이들이 균등하고 질 좋은 보육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보육 인프라를 구축해 가겠다”고 밝혔다.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
2021-08-25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