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구의 풍부한 역사문화자원, ‘학교 밖 교육’ 고등 커리큘럼 된다

서유미 기자
수정 2024-03-13 13:58
입력 2024-03-13 13:58
서울 자치구 최초 ‘학교 밖 교육’ 운영
중구·동국대·성동고 협약 교과목 공동운영
‘글로컬시대 지역문화 이해’
서울 중구의 풍성한 역사문화자원이 고등학생들의 학교 밖 교육 교과과정이 된다.중구는 지난 2월 동국대학교, 성동고등학교와 업무 협약을 맺고 오는 3월부터 12월까지 ‘글로컬 시대의 지역문화 이해’ 교과목을 학교 밖 교육과정으로 공동 운영한다고 13일 밝혔다. 교육 대상은 성동고등학교 1·2학년이다. 학교 밖 교육 운영 주체로 지자체가 선정된 것은 중구가 서울에서 최초다.
중구 관계자는 “중구는 600년 역사를 가진 서울의 중심에 자리하고 있어 역사문화 콘텐츠가 풍부하고 남산, 명동 등 외국인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곳도 많다”며 “생생한 교육의 현장이 될 수 있다”고 했다.
한양도성, 숭례문, 동대문, 남산골한옥마을, 광희문을 탐방하면서 전‧근대 역사문화를 생생하게 익힐 수 있다. 덕수궁 돌담길을 따라 걸으면 구세군 중앙회관, 덕수궁 석조전, 정동교회 등 근대 역사 문물이 교과서처럼 펼쳐진다.

학교 밖 교육은 학교에서 운영하기 어려운 과목을 일정한 요건을 갖춘 지역사회 기관을 통해 이수토록 하는 것이다. 서울시교육청은 성동고가 제안한 ‘글로컬 시대의 지역문화 이해’를 이수학점이 인정되는 교과목으로 지난해 말 정식 승인했다.
수강생들은 동국대 대학원생과 현장을 탐방한 뒤 외국인을 대상으로 지역의 문화를 홍보하는 자료도 직접 만들 예정이다. 강의와 홍보 자료 제작은 을지로에 위치한 ‘을지유니크팩토리’에서 진행된다.
권영기 성동고 교장은 “중구가 학교 현장의 소리에 귀 기울여 교육환경 개선을 지원하고 협력하면서 학교 밖 교육 교과과정을 만들수 있었다”며 “많은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을 것 같다”고 했다.
김길성 중구청장은 “한 아이를 키우기 위해 온 마을이 필요하다”며 “중구 곳곳에 자리한 역사문화자원이 곧 성동고 학생들의 생생한 교육 현장이 될 수 있도록 중구는 동국대와 힘을 다해 도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유미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