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물 나온 동대문 생태공원, 스토리도 입힌다
한준규 기자
수정 2016-09-27 00:02
입력 2016-09-26 23:52
배봉산 정상 공원 조성 중 발견
“개발 늦춰져도 유적 보존 뒤 개방”

연합뉴스
배봉산 정상은 서울의 잠실과 한강까지 조망한 현대적인 군사적 요지로 40여년 동안 포병부대가 점유하고 있었다. 지난해 11월 군부대가 이전하면서 동대문구는 이곳에 생태공원으로 조성하기로 하고 공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삼국시대의 유물들이 나온 것이다. 현재는 건축양식을 볼 때 고구려의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나, 워낙 고대에도 전략적으로 중요했던 곳이라 백제의 유물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발굴 조사는 서울문화유산연구원이 지난 5월부터 맡았다. 이날 공개된 유물과 유적은 삼국시대에 지어진 것으로 판단되는 토성 기저부(基底部)와 목책(木柵·구덩이를 파고 나무기둥을 세운 후 엮어서 만든 방어 시설) 등 유구(遺構·집터나 무덤 등) 등이다. 민무늬토기 등 청동기 시대 유물도 나왔다. 연구원 관계자는 “중랑천 서쪽에 자리잡아 한강 수로를 이용해 내륙으로 동진하는 경로와 중랑천을 따라 한강으로 남하하는 경로를 동시에 지켜볼 수 있는 지리적 위치에 있어 학술적 가치가 높다”고 평가했다.
따라서 구는 생태조성 공원에 이번에 나온 유물과 유적을 보존하는 방안을 마련 중이다. 구 관계자는 “발견된 토성의 기저부와 목채 전체를 보존하기는 쉽지 않고 일부를 지역 주민 등이 쉽게 볼 수 있도록 개방하는 방안이 유력하다”면서 “생태공원 조성이 좀 늦어지더라도 문화재청과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유덕열 동대문구청장은 “고구려와 백제 등이 한강 주변에서 치열한 싸움을 했던 만큼 배봉산 유적에 스토리를 입혀서 동대문의 새로운 관광 자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찾겠다”고 강조했다.
한준규 기자 hihi@seoul.co.kr
2016-09-27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