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80년 구로 노동자들의 ‘외딴방’ 기억하나요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이범수 기자
이범수 기자
수정 2017-04-12 23:46
입력 2017-04-12 22:36

가리봉동의 어제와 오늘 기획전

예술작가 8명 쪽방·벌집촌 전시… 산업화 과정 집없는 세대 이야기

“수십 년간 가리봉동은 ‘희망’과 ‘아픔’이 공존해 온 동네입니다.”
이미지 확대
특별기획전 ‘낮고 높고 좁은 방’의 모습. 구로구 제공
특별기획전 ‘낮고 높고 좁은 방’의 모습.
구로구 제공
이성 구로구청장은 ‘가리봉동’을 이같이 설명한다. 1970~80년대 구로공단이 대한민국의 제조업을 이끌던 시대에는 희망을 찾아 전국에서 노동자들이 모여들었지만, 공단이 디지털단지로 변모한 후에는 싼 숙소를 구하는 중국 동포와 외국인 노동자들의 거주지가 되며 쇠퇴했기 때문이다.

구로구에 따르면 지난해 7~9월 기준으로 가리봉동 1만 9000여명의 주민 중 중국교포의 비율은 40.5%에 이른다. 가리봉동 내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비율도 4.7%로 서울시 평균 2.1%보다 훨씬 높다.

서울 구로구 가리봉동의 과거와 현재를 예술로 만나 볼 수 있는 기획전이 오는 28일까지 구로구민회관 1층 구루지 갤러리에서 펼쳐진다고 12일 밝혔다. 구로문화재단은 “산업화의 아픔을 간직한 가리봉동의 역사를 기억하고, 도시재생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쪽방, 벌집촌을 대변하는 ‘방’을 주제로 특별기획전 ‘낮고 높고 좁은 방’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공공미술 작가인 이민하씨가 기획을 맡았다. 이 작가는 기획전을 통해 “과거 구로공단의 가리봉 벌집, 쪽방촌과 현시대의 불안정한 주거공간이 이어지는 고리를 탐색해 보고 싶었다”고 기획 의도를 밝혔다. 전시회 제목 또한 ‘집 없는 세대’의 집 이야기를 담은 사회학자 정민우씨의 저서 ‘자기만의 방’에서 착안해 명명했다. 정씨는 불안정한 주거공간을 ‘낮고(반지하 방), 높고(옥탑방), 좁은(고시원)’이란 구절로 설명한 바 있다.



예술작가 8명이 참여한 전시회에는 탁본, 회화, 영상, 설치 작품 30여 점이 선보인다. 관람료는 무료다. 일요일 휴무.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17-04-13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