좁은 목조계단·1.5평 탑… 비운의 역사와 마주하다
최훈진 기자
수정 2018-05-11 02:33
입력 2018-05-10 23:06
45년 만에 공개된 구 러시아공사관 3층탑 르포

1973년 개보수 이후 일반에 공개되지 않은 러시아공사관 탑 내부가 45년 만에 언론에 공개됐다. 중구는 이날 ‘구한말 외교와 교육’을 주제로 11∼12일 열리는 ‘정동야행’을 앞두고 대한제국 시기 외교의 중심지였던 러시아공사관 탑 내부를 처음으로 개방한 것이다. 건물이 워낙 낡은 데다 낙석 등 안전 문제가 있어 일반인 출입은 계속 통제된다.
러시아공사관은 비운의 ‘아관파천’ 현장으로 잘 알려진 곳이다. 아관파천은 명성황후가 일본군에게 시해된 이듬해인 1896년 2월 11일 고종이 세자(순종)와 함께 경복궁에서 러시아공사관(아관·俄館)으로 피신한 사건이다. 고종은 1897년 2월 20일 경운궁으로 환궁할 때까지 1년간 러시아공사관에 머물렀다.

최해국 선임기자 seaworld@seoul.co.kr

최해국 선임기자 seaworld@seoul.co.kr

최해국 선임기자 seaworld@seoul.co.kr
러시아공사관은 1890년(고종 27) 경운궁 후원인 상림원 터에 준공됐다. 독립문과 덕수궁 정관헌·중명전·석조전 설계·감독을 맡은 스위스계 러시아인 사바틴이 설계했다. 벽돌로 된 2층짜리 본관을 세우고, 한쪽에 탑을 세웠다. 입구에는 개선문 형태의 아치형 문이 있었다. 한국전쟁 때 폭격으로 본관 건물은 파괴되고 탑과 지하통로만이 남았다. 탑은 1973년 복원됐다. 지하통로는 호위대 막사와 공사관 내부를 연결하는 통로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중구는 문화재청과 함께 러시아공사관 복원·정비를 추진하고 있다. 박대석 중구 건축과 주무관은 “러시아공사관 설계도가 국내에는 남아 있지 않고 러시아에 있기 때문에 복원을 위한 자료가 부족한 상태”라며 “자료 확보가 중요한 작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8-05-11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