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촌 한옥지구 만든 건축왕, 그 흔적 더듬다
김승훈 기자
수정 2019-04-10 00:47
입력 2019-04-09 22:18
새달 10일까지 ‘기농 정세권’ 재조명 전시…조선집·한글 지키다 재산 뺏긴 민족운동가


‘경성을 조선집으로 지켜내자’에선 서울 전역에 ‘ㅅ’자 방파제 모양으로 한옥집단지구를 조성한 건축가이자 디벨로퍼로서의 정세권을 다룬다. ‘조선 사람은 조선 물산으로’에선 조선물산장려회를 통해 상공업 부흥과 민족문화를 지키기 위해 애쓴 정세권을, ‘북촌은 한글이다’에선 조선어학회를 지원하고, 이 때문에 일제에 체포되고 재산까지 몰수당한 ‘민족운동가’ 정세권을 조명한다. ‘조선집, 영화를 통해 살아나다’에선 일제강점기부터 1960년대까지 제작된 흑백영화 중 전통한옥과 조선집을 생생하게 살펴볼 수 있는 ‘미몽’(1936), ‘반도의 봄’(1941),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1961) 등 10편의 영화를 통해 조선집을 간접 체험할 수 있다.
3·1운동 100주년 기념사업 하나로 마련된 이번 전시는 다음달 10일까지 이어진다. 김영종 종로구청장은 “정세권 선생은 종로의 역사문화를 잘 보존해 줬을뿐더러 도시 사람들이 살기 편리한 주택을 보급한 ‘혁신적인 디벨로퍼’였다”며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민족운동가로서의 면모까지 집중 조명해 더욱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9-04-10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