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져가는 향토 민요 2만곡, 이곳에 ‘저장’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김희리 기자
김희리 기자
수정 2019-11-22 03:26
입력 2019-11-21 18:06

서울시, 종로구에 우리소리박물관 개관

이미지 확대
21일 서울 종로구 와룡동에 개관한 서울우리소리박물관 전경. 구전으로 이어지던 향토민요 약 2만곡의 음원을 보유한 국내 최초의 향토민요 전문 박물관이다. 서울시 제공
21일 서울 종로구 와룡동에 개관한 서울우리소리박물관 전경. 구전으로 이어지던 향토민요 약 2만곡의 음원을 보유한 국내 최초의 향토민요 전문 박물관이다.
서울시 제공
서울 종로구 창덕궁 돈화문 건너편에 국내 최초로 사라져가는 향토민요를 체계적으로 보존하고 시민들에게 선보이는 전용 공간이 생긴다.

서울시는 21일 와룡동에 서울우리소리박물관을 개관했다고 밝혔다. 향토민요는 일정한 지역 사람들이 삶의 현장에서 부르던 노래를 말한다. 전문 소리꾼이 부르는 통속민요와달리 민중의 입에서 입으로 전해져 지역의 삶과 정서, 언어적 특징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지상 1층, 지하 2층, 연면적 1385㎡ 규모의 한옥 건물인 박물관은 음원감상실, 상설전시실, 영상감상실, 우리소리 아카이브로 구성됐다. 이곳에는 전국 각지의 향토민요 음원 2만곡이 전시돼 방문객 누구나 듣고 경험해볼 수 있다. 이 중 약 1만 8000곡은 MBC라디오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가 전국 800여개 마을을 직접 찾아가 채록한 것이며, 약 2000곡은 국가무형문화재와 전문 국악인 등이 직접 기부했다. 옛 음악교과서, LP음반, 공연의상 등 실물작품 5700여점도 보존됐다.

매주 화~일요일 오전 9시부터 오후 7시까지 무료로 관람이 가능하다.

인근에는 2016년 문 연 국악전문 공연장 ‘서울돈화문국악당’도 자리잡았다. 서울시는 궁중음악 중심의 국악당과 서민음악 전문 박물관인 이곳을 연계해 일대를 우리 전통음악을 보존·계승하는 ‘돈화문 국악로’로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박원순 시장은 “이곳은 서민들의 삶과 애환이 묻은 전국 각지의 향토민요를 누구나 쉽게 경험할 수 있는 박물관”이라면서 “전통문화의 거리 ‘돈화문 국악로’를 전통음악의 계승과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공간으로 운영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2019-11-22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