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 포커스] 이동주 마포구의회 행정건설위원장

윤창수 기자
수정 2015-10-27 00:26
입력 2015-10-26 22:44
“실업대책반·취업전산망… 청년일자리 창출에 큰 역할”

이 위원장은 초등학교 5년+중등학교 5년으로 학제를 조정하는 것도 빨리 진로를 개척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대학을 졸업하고도 또다시 ‘스펙’을 쌓기 위해 노력해야만 하는 청년들이 안타깝다고 덧붙였다.
그는 지난 20일 80대 노모가 입원한 사이 사망한 지적장애인에 대해 “정신지체 여성 26명이 모여 단순노동, 자급자족 생활을 하는 마포구의 ‘맑음터’와 같은 공동생활 시설이 더욱 확대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가정에서는 돌보기 어렵고 집단 시설에서 지내는 것은 꺼리는 이들이 함께 모여 살 수 있는 시설이 더 생겨야 한다는 것이다. 구에는 현재 1인 가구가 7만여 가구로 전체 구민의 41%이며 이 중 65세 이상 독거노인은 8776명이다.
“공무원들이 서비스직의 마음가짐으로 주민을 대하고 있지만 고독사는 언제라도 생길 수 있는 만큼 거실과 주방은 공동으로 쓰고 방은 혼자 쓰는 노인 복지시설이 더 늘어나야 합니다.”
‘뼛속까지 마포인’으로 살아온 이 위원장은 이제는 일률적으로 기초노령연금 20만원을 지급하기보다는 필요한 사람에게 더 주는 ‘선 택적 복지’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2015-10-27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