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 보도 그후] 음식쓰레기 가정분쇄기 거쳐 정화조 처리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0-02-12 00:00
입력 2010-02-12 00:00

<2009년 4월 30일자 25면>

서울시가 음식물 쓰레기를 가정에서 분쇄기(디스포저·Disposer)로 갈아 분뇨처리시설(정화조)에 흘려 보내는 새로운 처리방식을 시범 도입한다.

서울시는 “국내 하수관거 특성상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해 하수도로 흘려 보내는 처리방식은 한계가 있다.”면서 “대안으로 주방에 설치된 분쇄처리기를 거친 음식물 찌꺼기를 정화조에 보내 병합 처리하는 시스템을 도입할 계획”이라고 11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음식물 쓰레기를 하수도 대신 분뇨를 처리하는 정화조에 내려 보내 처리하는 방식으로, 현재 일본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고 서울시는 설명했다. 서울시는 당산동 푸르지오 아파트 538가구를 정화조 병합처리 시범사업 단지로 지정하고, 이달 중 정화조와 음식물 분쇄 오수 병합처리 시설을 설치할 계획이다.

정부와 서울시는 그동안 음식물 쓰레기를 갈아 하수관에 버릴 수 있도록 디스포저 도입을 추진해 왔다.

디스포저는 반드시 빗물과 오물이 분리돼 하수관을 흐르도록 만든 ‘분류식 하수도’에서만 쓸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음식물 쓰레기가 빗물과 섞여 하수관을 막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하수체계가 잘 갖춰진 서울에서도 분류식 하수도(1005㎞)는 전체 하수관(1만 263㎞)의 10%에도 못 미친다. 따라서 하수관 대신 가정이나 아파트 단지마다 설치된 정화조를 활용하는 서울시의 새 방식은 실현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다.

서울시 관계자는 “분류식 하수도가 확산되고 디스포저 병합처리 시스템이 도입되면 음식물 쓰레기 처리 효율이 높아지고 시민의 삶의 질도 한층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류지영기자 superryu@seoul.co.kr
2010-02-12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