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접객업소 연1회 통합위생 점검
수정 2010-04-01 00:40
입력 2010-04-01 00:00
시는 자치구와 합동으로 시내 8만 8000여개 업소를 연 1회 방문해 통합점검하고, 인터넷 자율점검제 대상을 200㎡ 이상 일반음식점과 휴게음식점, 제과점, 위탁급식소 등 3만 1000여개 업소에도 확대해 시행한다고 31일 밝혔다. 지난해엔 1만여곳을 대상으로 시범 실시했다.
시가 지난해 자치구와 별도로 실시한 위생지도·점검 결과 전체 13만 6463개 업소 중 49.1%인 6만 7046곳이 한 차례도 점검을 받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3만 9846곳(29.2%)은 1회만 점검받았고, 2만 9571곳은 최대 4회 이상 위생점검이 이뤄지는 등 중복점검에 따른 행정력 손실, 영업주들의 불편을 가중시켜 왔다. 모든 업소를 방문하기엔 현실적으로 어려워 무작위 추출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시는 새올행정시스템(점검업소 전산입력프로그램)과 연계된 PDA를 활용해 중복점검에 따른 부담을 해소하기로 했다. 인터넷 자율점검제는 업주가 스스로 위생상태 전반을 점검한 결과를 인터넷을 통해 제출하는 것으로, 성실하게 참여한 업소에 대해서는 1년간 방문점검을 유예하고 인센티브를 주기로 했다. 또 자율점검제가 제대로 이행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10%를 임의로 추출해 방문점검할 계획이다.
신면호 복지국장은 “식품위생 사각지대를 없애고 시민의 먹을거리 안전을 위해 실시하는 제도인 만큼 업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강동삼기자 kangtong@seoul.co.kr
2010-04-01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