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사땐 지하철서도 마스크를!
수정 2010-04-15 00:42
입력 2010-04-15 00:00
바깥공기 오염 심하면 환기장치 가동 중단
14일 서울시의회 등에 따르면 서울메트로는 황사로 실외 미세먼지 농도가 300㎍/㎥가 되면 환기구 가동을 중단한다.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지하철역으로 들어오지 못하지만 반대로 지하철역의 공기가 순환되지 않아 오염도가 급격히 높아진다.
최악의 황사로 서울에 황사경보가 발령된 지난달 20일 오후 8~9시 시청역과 충무로역, 서울역 등의 대합실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는 270∼300㎍/㎥로 지하철역 환기구 작동을 멈추는 기준이 되는 외부 먼지농도와 엇비슷했다. 평소 지하철역 미세먼지 농도는 웬만하면 50㎍/㎥를 넘지 않는다.
당시 서울시가 측정한 도심의 실외 미세먼지 농도가 400∼570㎍/㎥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역사 내부 미세먼지는 외부의 50~70% 수준에 이른다. 또 시청역 외부(종로구)지역은 392㎍/㎥였는데 역대합실은 272㎍/㎥였고, 서울역은 바깥(용산구)이 541㎍/㎥였고 대합실은 298㎍/㎥였다. 이 정도는 지하철역사 내 평균 미세먼지의 5~6배 달하는 수치로 마스크를 꼭 써야 건강을 지킬 수 있다.
한준규기자 hihi@seoul.co.kr
2010-04-15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