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정류소에 음성안내 시스템을”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0-05-13 00:34
입력 2010-05-13 00:00

서울신문·서울시의회 공동 4월 의정모니터

서울신문과 서울시의회가 함께하는 4월 의정모니터에는 대중교통인 ‘버스’ 관련 의견과 편리한 자전거 이용에 대한 지적이 많았다. 특히 시각 장애인을 위한 버스정보 음성안내 서비스, 버스정보시스템에 현재 시간 기능 추가 등 간단하면서도 시민들의 생활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좋은 의견들이었다. 4월 제시된 61건의 의견 가운데 세차례의 엄중한 심사를 거쳐 5건을 우수의견으로 선정했다.

이미지 확대
서울시는 저상버스 등 장애인의 이동권보장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도입하고 있지만 아직 미흡한 점이 많은 게 사실이다.

최정희(35·구로구 개봉2동)씨는 “시각 장애인들은 버스를 이용할 때 몇 번 버스가 정류소에 들어오는지 알 수 없어 주변 시민들에게 매번 물어보는 불편함을 겪고 있다.”면서 “버스정류소의 버스도착안내 시스템에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서비스 기능을 추가하자.”고 제안했다. 물론 소수의 장애인들을 위해 예산을 투입하는 게 낭비처럼 보일 수 있으나 ‘나눔문화’ 정착을 위해 이들을 배려를 하는 정책이 절실하다. 최씨는 “버스 번호판 인식 시스템을 도입, 일정 거리에 몇 번 버스가 오고 있다는 것을 음성으로 안내하면 된다.”면서 “버스 정류소 일정 공간에서 이런 서비스를 하면 시각 장애인은 물론 노인들도 편리하게 버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김여울(23·서대문구 북가좌2동)씨는 “현재 정확하게 버스도착시간 등을 알려주고 있는 버스도착정보안내 전광판에 ‘시간’을 알려주는 기능을 추가하자.”면서 “바쁜 생활을 하는 시민들을 위한 작은 배려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자전거 이용활성화를 위한 제안도 있었다. 이연숙(45·강서구 화곡동)씨는 “시내 곳곳에 설치된 자전거 거치대의 디자인과 기능을 하나로 통일하면 좋겠다.”고 주장했다. 또 “자전거보관소에 자전거도로 지도와 안내문등을 설치하자.”고 덧붙였다.

강남성모병원 사거리에서 잠수교 방향으로 가는 길에 설치된 제한속도 표지판이 몇 m간격으로 틀려 교통사고 등의 원인이 되고 있다는 지적도 있었다. 성춘제(53·중랑구 신내동)씨는 “이 구간에는 60㎞의 제한속도 표지판을 2~3m 지나면 바로 40㎞ 제한속도 표지판이 나온다.”면서 빨리 제한속도를 통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준규기자 hihi@seoul.co.kr

■ 이렇게 달라졌어요

서울시와 산하기관에서는 3월에 제시된 의정모니터 의견을 대부분 시정에 반영하겠다고 알려왔다.

서울시는 주차장입구에 층별 주차가능 대수 등을 표시하는 LED 전광판을 설치하자는 의견에 대해서 올 하반기부터 모든 공영주차장으로 확대 적용하고 백화점, 대형 할인점 등도 이 전광판을 설치할 수 있도록 권장하겠다고 알려왔다.

또 재개발 사업의 투명성과 공공성을 위해 도입된 ‘공공관리자 제도’의 홍보부족에 대한 지적에도 외부 전문가로 홍보전담반을 구성, 재개발 사업지를 돌며 설명회, 주민 간담회 개최 등 적극적인 홍보에 나서겠다고 했다.

버스정류장 안내도 글씨가 작다는 지적에는 새롭게 만드는 노선도에 가능한 글씨를 크게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2010-05-13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