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정류소에 음성안내 시스템을”
수정 2010-05-13 00:34
입력 2010-05-13 00:00
서울신문·서울시의회 공동 4월 의정모니터

최정희(35·구로구 개봉2동)씨는 “시각 장애인들은 버스를 이용할 때 몇 번 버스가 정류소에 들어오는지 알 수 없어 주변 시민들에게 매번 물어보는 불편함을 겪고 있다.”면서 “버스정류소의 버스도착안내 시스템에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서비스 기능을 추가하자.”고 제안했다. 물론 소수의 장애인들을 위해 예산을 투입하는 게 낭비처럼 보일 수 있으나 ‘나눔문화’ 정착을 위해 이들을 배려를 하는 정책이 절실하다. 최씨는 “버스 번호판 인식 시스템을 도입, 일정 거리에 몇 번 버스가 오고 있다는 것을 음성으로 안내하면 된다.”면서 “버스 정류소 일정 공간에서 이런 서비스를 하면 시각 장애인은 물론 노인들도 편리하게 버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김여울(23·서대문구 북가좌2동)씨는 “현재 정확하게 버스도착시간 등을 알려주고 있는 버스도착정보안내 전광판에 ‘시간’을 알려주는 기능을 추가하자.”면서 “바쁜 생활을 하는 시민들을 위한 작은 배려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자전거 이용활성화를 위한 제안도 있었다. 이연숙(45·강서구 화곡동)씨는 “시내 곳곳에 설치된 자전거 거치대의 디자인과 기능을 하나로 통일하면 좋겠다.”고 주장했다. 또 “자전거보관소에 자전거도로 지도와 안내문등을 설치하자.”고 덧붙였다.
강남성모병원 사거리에서 잠수교 방향으로 가는 길에 설치된 제한속도 표지판이 몇 m간격으로 틀려 교통사고 등의 원인이 되고 있다는 지적도 있었다. 성춘제(53·중랑구 신내동)씨는 “이 구간에는 60㎞의 제한속도 표지판을 2~3m 지나면 바로 40㎞ 제한속도 표지판이 나온다.”면서 빨리 제한속도를 통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준규기자 hihi@seoul.co.kr
■ 이렇게 달라졌어요
서울시와 산하기관에서는 3월에 제시된 의정모니터 의견을 대부분 시정에 반영하겠다고 알려왔다.
서울시는 주차장입구에 층별 주차가능 대수 등을 표시하는 LED 전광판을 설치하자는 의견에 대해서 올 하반기부터 모든 공영주차장으로 확대 적용하고 백화점, 대형 할인점 등도 이 전광판을 설치할 수 있도록 권장하겠다고 알려왔다.
또 재개발 사업의 투명성과 공공성을 위해 도입된 ‘공공관리자 제도’의 홍보부족에 대한 지적에도 외부 전문가로 홍보전담반을 구성, 재개발 사업지를 돌며 설명회, 주민 간담회 개최 등 적극적인 홍보에 나서겠다고 했다.
버스정류장 안내도 글씨가 작다는 지적에는 새롭게 만드는 노선도에 가능한 글씨를 크게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2010-05-13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