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보다 생활중심 행정을”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0-07-28 00:36
입력 2010-07-28 00:00

성북구 생활구정委 김수현 위원장 인터뷰

“그동안 구가 개발중심의 행정을 펼쳤다면 2010년대는 생활중심의 행정을 펼칠 때가 됐습니다.”

이미지 확대
27일 성북구 생활구정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된 김수현(48·전 환경부 차관) 세종대 교수는 향후 위원회의 활동방향을 이같이 표현했다.

김위원장은 “재개발 위주 행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외부인력이 필요해 직속기구가 출범한 것으로 안다.”면서 “너무 튀거나 큰 포부로 집행부 업무를 방해하는 일은 하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성북구에는 갈등의 불씨를 안은 재개발구역이 170곳이나 된다. 그러나 그는 집행부와 구의회가 나서서 해결할 일이지 위원회가 미주알고주알 참견해선 안된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위원회 하면 집행부와 동떨어져 따로 노는 것이라는 인식이 많은데 우리 위원회는 밀도있는 기획과 자문, 방향제시를 통해 집행부와 소통을 이루겠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실무자들과 자주 만날 것을 약속했다.

실무형 전문가와 학자들로 구성된 위원회는 제일 먼저 김영배 구청장의 생활정치 공약중 하나인 ‘도보 10분 생활만족 프로젝트’ 구체화에 나선다. 걸어서 10분거리에 작은도서관, 생활체육시설, 보육시설, 경로당, 공동주차장, 공원 등을 두는 생활밀착형 복지사업이다. 또한 공연문화중심지인 혜화동 대학로와 화랑의 역사를 지닌 삼청동이 인근에 자리했다는 입지조건을 감안해 창조산업특구로 만드는 일에 일조한다.

김 위원장은 특히 “성북구가 오래된 도시여서 강북발전의 대표모델로서의 잠재력을 지녔다.”면서 “도심과 인접해 있을 뿐 아니라 대학의 밀도가 높고 젊은이들이 많은 특성을 살린 창조산업도시로 발돋움하는 데 디딤돌 역할을 하고 싶다.”고 강조했다.

청와대 비서실 사회정책비서관으로 근무하던 2003~2006년 당시 정책기획비서관인 김 구청장과 인연을 맺은 그는 “흔히들 구청장이 단지 젊은 정치가라는 점만 부각시키는데 그는 매우 학구적이면서도 개혁적”이라면서 “미국 시러큐스대 행정학 석사를 받을 정도로 행정도시 정책 전문가로서 역량이 뛰어나 성북구를 어떻게 이끌지 기대된다.”고 말했다.

위원장직을 수락하게 된 결정적인 이유도 이런 인연과 더불어 민관협치가 이뤄지는 진정한 지방자치를 구현하려는 구청장의 순수한 뜻과 성북구의 잠재력을 믿었기 때문이다. 위촉장 수여 때는 김 구청장이 “윗분(?)에게만 받으시다가 제가 드려서 죄송하다.”고 농담을 던져 웃음바다가 되기도 했다.



생활구정위원으로는 박인석 명지대 건축학부 교수, 안균오 공간환경연구센터 연구실장, 송규봉 연세대 건축공학과 교수 등 14명이 위촉됐다. 위원회는 주요정책기획·건의, 행정 개선사항 등에 관한 구청장 자문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위원회는 오는 30일 국장단이 참석한 가운데 첫 회의를 갖는다.

강동삼기자 kangtong@seoul.co.kr
2010-07-28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