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천변 호화 자전거 ‘씽씽’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0-09-15 00:20
입력 2010-09-15 00:00
탄천에 자전거 동호인들이 크게 늘면서 때아닌 호화 자전거 바람이 불고 있다.

수백만원대에서부터 무려 1000만원을 호가하는 고가 수입 자전거들이 쉽게 눈에 띄면서 녹색교통 바람이 자칫 사치로 치닫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14일 성남시와 주민들에 따르면 2000년대 초 탄천 둔치에 자전거도로가 완벽히 갖추어지면서 자전거 이용자가 늘기 시작하더니 3~4년전 부터는 자전거동호회 등을 중심으로 고가 자전거 구입 사례가 크게 늘고 있다.

자전거는 크게 로드용과 산악용으로 구분되지만 동호인들이 주로 이용하는 자전거는 타이어가 굵은 산악용으로, 고가품 대부분이 선수용이다.

가격은 국산의 경우 10만원부터 1000만원이 넘는 것까지 다양하지만 최근 고가품 바람이 불면서 ‘100만원대 이하의 자전거는 눈치가 보여 탄천에서 탈 수 없다.’는 말까지 공공연히 돌고 있다.

야탑동에서 자전거판매대리점을 운영하는 이모(37)씨는 “5~6년 전만 해도 10만~15만원대 자전거가 많이 팔려 판매대에 저가모델을 주로 올려놨으나 이제는 아예 찾는 이가 없다.”며 “국산 자전거는 거들떠보지도 않아 주로 외국산이나 국내 조립품을 팔고 있다.”고 말했다.

일부 대리점은 소비자들에게 공공연히 “최소 150만원짜리는 타야 탄천에서 괄시받지 않는다.”며 은근히 고가 자전거 구매를 부추기고 있다.

얼마 전 국내 조립품인 미국산 아팔란치아를 40만원대에 구입한 주민 이모(44)씨는 “아침 운동을 위해 자전거를 구입했지만 이웃 주민들이 주로 타는 자전거를 보고 깜짝 놀랐다.”며 “상당수가 600만~800원대에 달해 함께 운동하기가 왠지 꺼림칙했다.”고 털어놨다.

자전거 출퇴근이 늘면서 공무원사회에도 고가 자전거 바람이 거세다. 성남시청 직원들 가운데서도 수백만원대 고가 자전거를 소지한 경우가 적지 않다. 이들은 주로 동호회에 가입해 활동하면서 출퇴근으로 자전거를 이용한다. 고가품으로 분실이 우려돼 일부 직원들은 자전거를 사무실까지 갖고 올라가기도 한다.

고가 자전거는 가벼워 피로를 덜어준다고 알려져 있지만 자동차 한대 가격의 자전거까지 등장하면서 실용성의 한계를 넘은 것 아니냐는 지적도 일고 있다.

용인 죽전동에서 자전거백화점을 운영하는 이모(45)씨는 “고가의 자전거가 무게가 가벼운 것은 사실이지만 대부분 1~2㎏ 차이로, 무작정 비싼 것을 고집할 필요는 없다.”며 “일부 주민들은 과시를 위해 고가의 자전거를 구입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윤상돈기자 yoonsang@seoul.co.kr
2010-09-15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