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면표시 개선작업 왜 더디나
수정 2010-09-15 00:20
입력 2010-09-15 00:00
휘도측정기 한 대당 3000만원 고가… 예산증액 절실
무엇보다 예산문제가 있다. 기존 도로의 차선표시면을 밝게 하려면 마모된 흰색이나 황색차선을 제거해야 한다. 두께 기준이 2㎜인 차선이 1㎜ 이상 남으면 제거 뒤 도색하는 게 원칙이다. 그런데 재도색 여부는 육안에 의존한다. 차량으로 순찰을 돌다가 차선 표시가 많이 마모됐다고 판단하면 재도색 구간으로 결정하는 식이다. 이렇다 보니 균열이 간 차선에 다시 덧칠하는 경우도 생긴다. 이런 경우 시인성 확보라는 차선의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된다.
나아가 시는 차선 표시 제거 때 비산먼지 발생 등 대기오염 요인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나 예산증액이 뒷받침되지 않는 한 현실화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시는 차선 제거 때 비산먼지 방지설비 사용을 의무화했다. 하지만 이면도로 등 일부 공사구간에서는 여전히 비산먼지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글 사진 박현갑기자
eagleduo@seoul.co.kr
2010-09-15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