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시간 문 여는 어린이집 첫 운영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0-10-29 00:26
입력 2010-10-29 00:00
강남구 지역 주민이면 누구나 아무 때나 아이를 맡긴 뒤 맡긴 시간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어린이집이 전국 최초로 등장한다. 이처럼 ‘24시간 연중무휴’로 운영되는 어린이집이 내년에는 서울시내 전역으로 확대된다.<서울신문 5월 12일자 25면 참조>

강남구는 주민들의 육아 부담을 덜어 주기 위해 다음 달 1일부터 청담·역삼가애·대치보람 어린이집 등 3곳에서 ‘전일 시간제 보육 서비스’를 시범 실시한다고 28일 밝혔다. 현행 어린이집 기준 보육시간은 오전 7시 30분부터 오후 7시 30분까지 12시간이다. 때문에 맞벌이나 야간·휴일 업무가 잦은 서민·저소득층 부부는 아이를 안정적으로 맡길 어린이집을 찾는 게 쉽지 않다. 또 부정기적·불규칙적으로 아이를 맡기고 싶어도 보육료는 월 단위로 내는 만큼 비용 부담이 큰 실정이다. 따라서 전일 시간제 보육 서비스가 이뤄지면 이 같은 고비용·저효율 문제를 일정 부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범 어린이집 3곳에서는 생후 6개월부터 만 5세까지의 아이를 맡길 수 있다. 보육료는 시간당 3000원(종일 5만원)이며, 유기농 식단으로 짜여진 식사비용도 한끼당 1000원으로 저렴하다. 또 응급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에 대비해 삼성의료원과 강남세브란스병원, 자생한방병원 등과 협조 체계를 구축했다.

보육 신청은 긴급상황을 제외할 경우 이용희망일 3일 전 인터넷(gncare.go.kr)이나 전화(1588-8256)로 하면 된다. 다만 부모가 보육 의무를 고의적으로 회피하는 사례를 방지하기 위해 여행 등 취미·여가 목적으로 아이를 맡길 수 없도록 하고, 1인당 월 이용시간을 최대 4일(96시간), 또는 8회로 제한하기로 했다. 신연희 구청장은 “2개월간 시범실시 후 단계적으로 확대 운영할 계획”이라면서 “다양한 보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 서비스의 질도 높여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또 이러한 시간제 보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린이집을 내년부터 서울시내 25개 자치구로 확대할 방침이다. 해마다 25곳씩 최대 100곳을 이런 어린이집으로 지정할 계획이다.



이충세 시 보육담당관은 “시간제 어린이집을 운영하는 데 필요한 비용을 내년도 시 예산에 반영하기 위해 협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2010-10-29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