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 요모조모-만원의 행복] 마포구 성미산
수정 2010-12-10 00:22
입력 2010-12-10 00:00
해발 66m… 부담없는 동네 뒷산
마포구 성미산. 서울시민들이면 한 번쯤 들어보았을 산이다.마을공동체로, 홍익대와 개발 분쟁으로 언론에 오르내리던 곳이다. 하지만, 아무리 마포구 성산동을 둘러봐도 산(山)을 찾아보기는 쉽지 않다.

마포구 성미산은 먼 곳에서 작정하고 찾아갈 만큼 멋진 산은 아니다. 우리 동네 뒷산하고 비슷하다. 해발 66m로 한번 둘러보는 데 30~40분이면 충분하다.
서울시가 2013년까지 공원으로 꾸민다고 발표를 했지만, 아직 등산로도 마땅히 나있지 않다. 많은 주민이 찾아서인지 곳곳에 부서진 계단이 많고 나무도 여기저기 베어 쓰러져 있다. 그래도 이곳에서 아이들 고사리 손을 잡고 가벼운 산행과 문화탐방, 친환경 우리 농산물로 만든 밥상을 만날 수 있다.
산이 성처럼 둘러싸여 있어 원래 성산이라 불렸던 성미산을 오르는 길이 서교동·망원동·성산동 사이로 듬성듬성 나 있다. 봉우리가 어디냐고 물어보면 마을 주민조차 답이 다르다. “아마, 저쪽이 마을이 잘 내려다보이는 곳이나 제일 높을걸.”이라거나, “아니야 서울 시내 우수 조망대라고 표시된 곳 있잖아. 거기가 제일 높은 봉우리일 거야.”라고 한다. 동네 사람조차 모르니 놀러 온 사람은 더더욱 알 수가 없다.
그러니 성미산은 정상을 딱히 정하고 오를 필요가 없다. 산책을 하듯 발길이 닿는 대로 가고 싶은 대로 가면 된다. 정상 근처 곳곳에 있는 의자에 앉아 초겨울의 찬 바람을 즐기거나 운동기구에 올라 가벼운 운동을 하고 내려오면 된다.
●조망대·약수터 찍고 내려오세요
마을 사람들은 산행의 목표로 성미산 약수터를 권한다. 오르는 곳을 가장 찾기 쉽기 때문이다.
홍익대 정문이나 2호선 신촌역에서 8번 마을버스나 2호선 홍대전철역에서 15번 마을버스를 타고 성미산 약수터 정류장에서 내리면 된다.
거기서 서교로의 GS주유소를 지나 50m 정도 지나면 표지판이 나온다. 거기서부터 산행을 시작하면 된다. 아이와 함께라도 한 시간이면 충분하다.
성서초등학교 쪽으로 내려오면 마을 사람들이 운영하는 성미산 마을극장(02-322-0345)이 나온다. 동네 아이들과 주민들의 장기자랑과 공연 등을 감상할 수 있다.
친환경 마을식당이란 주제로 운영 중인 성미산밥상(02-336-0317)은 된장찌개가 7000원 수준. 또 유기농 반찬을 살 수 있는 동네부엌(02-325-3700)도 들여다볼 만하다.
한준규기자 hihi@seoul.co.kr
2010-12-10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